책 곳곳에 그림과 작품이 배치되어 있다. 그렇다고 예술을 말하며 고상한 척은 하지 않는다. 장애인이 주인공이다. 그러나 장애인의 입장이 되어보자며 얄팍하게 폼잡는 이야기는 없다. 책 속의 예술과 장애는 도구다. 책장을 넘기며 이야기를 ‘듣다 보면’ 여러 줄기로 뻗어 나가는 탈선의 길이 보인다.

시라토리 겐지는 선천적 전맹이다. 눈이 보이지 않아 색깔도 구분할 수 없지만 매년 수십 번씩 미술관에 다닌다. 대학 시절, 비장애인이자 관심 있는 여성 동기가 미술관에 데려가 작품을 말로 설명해줬다. 이후 시라토리는 여러 미술관에 전화를 걸었다. 작품을 말로 설명해달라고 부탁했다. 거듭된 거절 끝에 한 미술관 문이 열렸다. 시라토리를 안내하던 미술관 직원이 고흐의 작품 앞에서 잠깐 멈칫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죄송해요. 방금 호수라고 말씀드렸는데 들판이었네요. 지금까지 저는 이 들판을 호수라고 믿고 있었어요.” 관람을 마치고 직원은 시라토리에게 고개 숙여 인사했다.

눈이 보인다고 제대로 보는 건 아니다. 어떤 것이든 볼 수 있지만 그만큼 시야가 좁아진다. 시라토리와 전시를 본 동행자들은,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세세한 부분에도 눈길을 주다 보니 자연스럽게 작품 위를 자유롭게 헤매게 된다고 한다. 눈의 해상도가 올라가고 수많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고 한다. 동행자들에게 작품을 제대로 보게 해준 건 눈이 아니라 옆에서 듣고, 상상하며 말을 거는 시라토리였다.

작가 가와우치 아리오가 시라토리와 2년간 미술관을 순례한 기록을 책으로 엮었다. 책에 실린 작품을 보며 ‘나라면 어떻게 설명해줬을까?’ 생각해보는 게 포인트다. 장애와 관계에 관심이 있는 독자뿐만 아니라 그동안 전시를 본 후 “좋았지” “그러게” 하는 대화만 나눴던, 또는 자유로운 미술 감상법이 궁금한 독자들에게도 권한다.

기자명 문상현 기자 다른기사 보기 moon@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