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빨리 나와라!” “자격 없다. 당장 사퇴해라!” 6월8일 오전 8시20분께, 서울 용산구청 9층 구청장실 앞에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모였다. 이들은 구청장실 문을 두드리며 박희영 용산구청장에게 밖으로 나오라고 소리를 질렀다. 구청장실 안쪽엔 불이 켜져 있었지만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문을 흔들자 잠금장치가 부서지며 바깥쪽 문이 열렸지만, 또 하나의 문이 유가족들을 가로막았다. 그 앞에 앉아 농성을 하던 유가족들은 굳게 닫힌 문에 막혀 결국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이날 오전 8시, 유가족들은 박희영 구청장의 출근을 저지하기 위해 용산구청에 모였다. 두 조로 나눠 정문과 후문을 모두 지켰지만 이내 박 구청장이 이미 출근을 마쳤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분노한 유가족들은 구청 건물 안으로 들어가 구청장실 진입을 시도했다. “구청장이 안에 없는 것을 확인하면 돌아가겠다”라며 구청 직원들에게 문을 열어달라고 외쳤지만 “문을 부수지 말라”는 대답만 돌아왔다.

박희영 구청장은 전날인 6월7일 보석으로 풀려났다. 박 구청장은 보석 심사에서 사고 직후 충격과 스트레스로 공황장애를 겪고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거지는 자택으로 제한됐지만, 구금 상태에서 풀려나며 구청장으로서 직무집행 권한은 즉각 회복됐다. 유가족들이 출근을 저지하기 위해 나서겠다고 예고하자 박 구청장은 이들을 피해서 몰래 출근한 다음 문을 걸어 잠갔다. 이날 용산구청 앞 기자회견에서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박희영 구청장에게는) 안전을 책임질 자격도 능력도 없다. 최소한의 양심이 남아 있다면 자진해서 사의를 표하라”고 비판했다.

-
“그때 이상민 장관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탄핵 심판대에 올랐다. 국무위원이 탄핵 심판을 받는 건 헌정 사상 최초다. 헌법은 공직자가 직무집행 과정에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했을 때 파면할 수 있다고...
-
10월에 머문 사람들, 이태원 참사 희생자 박가영씨 [이태원 참사 200일]
5월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두 건물 사이 좁은 길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서로 스쳐 지나간다. 변한 것은 붉은색 가벽에 붙은 추모 메시지뿐. 200일 남짓 붙어 있...
-
10월에 머문 사람들, 이태원 참사 희생자 최민석씨 [이태원 참사 200일]
5월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두 건물 사이 좁은 길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서로 스쳐 지나간다. 변한 것은 붉은색 가벽에 붙은 추모 메시지뿐. 200일 남짓 붙어 있...
-
BTS ‘아미’들의 ‘버터 비치’는 화력발전소 공사로 어떻게 바뀌었나 [시선]
“석탄발전소 부두 있는 데서 누가 해수욕을 하겠어요? 석탄이 됐든 원전이 됐든 발전소가 들어선 해변은 다 망가졌어요. 맹방은 항만 공사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해변이 쓸려나가 저렇게 ...
-
평균연령 80세 작가들 ‘신이어마켙’ [포토IN]
“난 내 자신 사랑하고 좋아요.” 하옥례 작가(82)가 노란색 매직펜으로 옥수수를 알알이 그리며 말했다. 작업 전 견본 이미지를 거꾸로 들고 예습하던 함복순 작가(90)는 “제대로...
-
“이제는 참사가 제 잘못이 아니라는 걸 알아요” [이태원 참사 1주기]
10월 이태원에는 소슬한 가을바람이 무색할 만큼 나풀거리고 반짝이는 것들이 가득하곤 했다. 이제 이곳에는 흰 국화 송이를 들고 다니는 청년들이 익숙한 풍경이 됐다. 10월29일은 ...
-
‘보통의 마음’도 없는 사람들 [편집국장의 편지]
지난주, 삼풍백화점 참사 30주기 이야기를 취재한 신선영 기자에게서 두꺼운 기록물 하나를 전달받았다. 1996년 6월 서울시가 발간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백서〉였다. 760쪽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