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 난곡동 일대. 펜션과 호텔, 주택가까지 불이 옮겨붙었다. ⓒ시사IN 이명익

“아침에 밭에 나가려고 하는데 바람에 불이 겅실겅실(겅정겅정의 방언) 날아서 뚝 떨어지고 또 뚝 떨어지고 집을 뺑 돌려가며 다 붙더라고. 옷도 다 못 챙겨 입고 나만 이래 나왔어.” 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산불 이재민 대피소(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만난 김정임씨(70·가명)는 다시 한번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손쓸 틈도 없이 번진 산불에 집은 삽시간에 주저앉았고 버선에 털신만 겨우 구겨 신고 나왔다.

4월11일 오전 8시22분, 강릉시 난곡동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순식간에 번졌다. 소방 당국은 소방대응 3단계를 발령하며 최고 수위 대응에 나섰고, 8시간 만에 주불 진화를 마쳤다. 하지만 이번 산불로 인해 축구장 면적(0.714㏊) 530배에 이르는 산림 379㏊가 불에 탔고 주택 59채, 펜션 34채, 호텔 세 곳, 상가 두 곳, 교회 한 곳, 문화재 한 곳 등 총 100개소가 전소되거나 일부가 탔다. 한 명이 숨지고 세 명이 화상을 입었다.

1996년 강원도 고성군 산불 때부터 산불을 관찰해온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이번 강릉 산불처럼 강풍때문에 낮에 헬기를 띄우지 못한 경우는 처음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산불의 양상이 ‘관측 이래 최대, 최고’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크다. 기후변화와 맞닿아 있다. 이번 강릉 산불은 대응 가능한 수준을 뛰어넘는 산불이 주민들의 터전을 앗아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제는 진화보다는 예방 중심의 체계로 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저동골길 펜션타운에서 마을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다. ⓒ시사IN 이명익

 

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의 한 펜션 주인이 이번 화재로 소실된 펜션의 잔해를 바라보고 있다. ⓒ시사IN 이명익
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에서 한 소방관이 김밥으로 허기를 때우고 있다. ⓒ시사IN 이명익
4월11일 오후 강원도 강릉 아이스아레나에 임시대피소가 급히 마련되었다. ⓒ시사IN 이명익
4월12일 오전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의 한 펜션. 4월11일 오전 화재로 전소되었다. ⓒ시사IN 이명익
4월12일 오전 화재로 전소된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의 한 카페. 주변 상점의 관계자가 피해 상황을 사진에 담고 있다. ⓒ시사IN 이명익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