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

저스틴 월랜드(사진)는 미국 주간지 〈타임〉에서 주목받는 환경 전문기자다. ‘커버링 클라이밋 나우(CCNow)’는 월랜드 기자를 ‘2022년 올해의 언론인’으로 꼽으며 “과학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거나 경제정책의 광범위한 변화 필요성을 과소평가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이야기한다”라고 소개했다.

늘 기후위기에 관심이 있었나.

우연히 기후위기 보도를 시작했다.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했고 이전엔 정치와 보건·의료 분야를 취재했다. 처음 기후위기를 보도해야 했을 땐 조금 당황스러웠지만 금방 그 주제에 몰두했고, 전문지식을 쌓기 위해 책·보고서·학술자료를 읽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빠르게 학습하기 위해 손에 넣을 수 있는 건 무엇이든 다 읽었다. 그리고 그 주제에 대해 가르쳐줄 수 있는 사람과 이야기하는 데 많은 시간을 썼다. 기후위기는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는 점과 동시에 해결책을 두고 여러 관점이 있다는 걸 인정하는 게 중요하다. 항상 다양한 의견을 듣고 기사를 쓰려고 노력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사안의 복잡성과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기 어렵다.

〈타임〉은 어떻게 기후위기를 보도하나.

〈타임〉은 기자 5명과 편집자 2명으로 구성된 ‘기후팀(Climate team)’을 꾸리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환경 전문기자가 아닌 기자들도 자신의 분야에서 기후위기 문제를 다루도록 권장한다. 예를 들어, 경제 전문기자는 최근 기후위기의 여파로 공급망 문제와 맞물려 있는 건축자재에 대해 보도했다. 기후팀은 모든 분야에 기후 파트가 만들어지길 바라며 뉴스룸 전반에 걸쳐 협력하고 있다. 개별 기자들도 각자 맡은 보도에서 기후위기를 우선적으로 다룰 방법을 찾고 있다. 언젠가 〈타임〉의 모든 이슈에서 기후문제를 볼 수 있을 거다.

기후위기를 부정하는 가짜뉴스 속에서 언론이 신뢰를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앞서 언급했듯 독자들이 즐겁게 읽을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와 기후위기를 연결하는 동시에, 과학에 근거해 기후위기를 보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기사의 전제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과학 문헌을 늘 가지고 있다. 기후위기 보도를 잘 읽어내기 위한 방법을 한 가지 제안하고 싶다. 대부분의 독자들이 시간이 없다는 걸 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 요약본을 읽어보시길 강력히 권한다. 읽기 쉽고, 읽고 나면 합의된 과학적 견해에 근거해 기후위기 보도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사IN〉 저널리즘 콘퍼런스 SJC 2022 : 기후위기 시대, 언론의 역할을 묻다 https://sjc.sisain.co.kr

기자명 이은기 기자 다른기사 보기 yieun@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