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성기 비하 표현 논란이 된 GS25의 상품 홍보 포스터(위)와 남자친구가 먹는 모습을 비하하는 묘사(허버허버)로 논란이 된 웹툰 〈바른연애 길잡이〉(오른쪽).

편의점 광고물에서 ‘메갈리아의 표식’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포스터를 제작한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남성혐오’의 상징을 포스터에 남겨놓았다는 것이다. 이런 음모론은 일개 사건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남성혐오자들이 정부, 학계, 언론 등 한국 사회 전반에 암약하고 있다’는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이 있다. 젊은 남성들이 자주 이용하는 커뮤니티(남초 커뮤니티)에서 확대 재생산되는 이슈다.

편의점사업 체인 GS25는 지난 5월1일 SNS에 광고를 뿌렸다. 캠핑 행사 상품을 홍보하는 포스터였는데 엄지와 검지로 소시지를 집는 듯한 그림이 들어가 있다. 지금은 폐쇄된 여성 커뮤니티 ‘메갈리아’의 로고와 흡사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로고는 한국 남성의 성기를 비하하는 의미로 알려져 있다. 해당 포스터는 배포된 당일부터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화제로 떠올랐다. GS25는 다음 날 사과문을 내놓고 포스터에서 손 모양을 뺐지만 반발은 멎지 않았다. 손 외에도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등장했다. ‘포스터 문구(Emotional Camping Must-have Item) 끝 글자를 역으로 조합하면 megal(메갈)이다’, ‘배경의 은하수를 잘 조합하면 문제의 손가락 모양이다’ 따위다.

GS25의 과거 광고물에서 문제의 손가락 모양을 ‘찾아낸’ 사람도 나왔다. 이들은 불매운동을 예고했다. 편의점 점주들은 본사에 대한 집단소송을 논의했다. 5월4일 조윤성 GS25 사장은 점주들에게 “관련자 모두 철저한 경위를 조사하고 사규에 합당한 조치를 하겠다”라고 사과문을 발송했다.

GS25 사건은 단발성 해프닝이 아니다. ‘남성혐오자 찾기’라는 흐름이 올해 초부터 있었다. 2월에는 ‘허버허버’ 논란이 일었다. 허버허버란 무언가 급히 먹는 모습을 묘사하는 인터넷 유행어다. 이 단어에 문제를 제기하는 이들은 ‘허버허버의 유래가 남자친구가 먹는 모습을 비하’하는 것이며, 용례도 남성 비하 목적이 대부분이라고 주장한다. ‘디시인사이드 야구갤러리’ 등 젊은 남성이 많은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허버허버가 들어간 창작물에 몰려가 단체로 비난 댓글을 썼다. 이 표현이 실제로 남성을 비하하는 데 쓰였는지 여부는 관련이 없었다. 웹툰, TV 방송, 유튜브 영상, 광고물 등 허버허버가 등장하기만 하면 ‘남성혐오물’로 비판받았다.

4월 중순, 네이버 웹툰 〈바른연애 길잡이〉 댓글난은 전쟁터가 되었다. 이 웹툰은 ‘허버허버’라는 표현을 썼을 뿐만 아니라 메갈리아를 연상케 하는 손 모양도 등장한다. 등장인물 이름인 ‘하남’이 ‘한남(한국 남자를 비하하는 말)’을 연상케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일부 남초 커뮤니티 회원들이 단체로 ‘별점 테러(웹툰에 낮은 점수를 주는 일)’를 가하고, 여초 커뮤니티 회원들이 단체로 만점을 주는 일이 반복됐다. 〈바른연애 길잡이〉 남수 작가는 ‘제작 시 의도한 의미가 없다. 문맥과 관계없이 다른 의미가 떠오를 수 있음을 미처 파악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이 웹툰의 새 회차가 올라올 때마다 댓글난은 남성혐오 논란으로 불붙는다.

여성의 행태를 비하하던 흐름과는 다르다

페미니즘에 대한 반동(backlash)일까? ‘온라인 마초’들이 페미니스트를 ‘색출’해내려는 걸까? 이 관점에서 본다면 현 상황은 2016년 넥슨의 성우 계약 해지 사건의 연장선상에 있다. 성우 김자연씨가 ‘Girls do not need a prince(여자는 왕자가 필요 없다)’라고 적힌 메갈리아의 티셔츠를 입고 SNS에 인증한 일이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와 누리꾼들이 문제를 제기하자 넥슨은 김씨와 계약을 해지했다. 만화가와 웹툰 작가들이 김씨를 지지하면서 사건은 ‘만화 불매’로 번졌다.

5월17일 국회에서 열린 ‘성년의 날 기념 20대 초청 간담회’에서 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참석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연합뉴스

하지만 티셔츠를 산 김씨와 달리, 최근 논란의 대상이 된 이들은 대부분 메갈리아나 유사 커뮤니티에 동조한 적이 없다. 페미니스트를 자칭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문제가 제기되면 ‘특정 사상과 무관하다’고 항변하는 경우가 다수다. 그러니까 최근 벌어진 사건들은, 페미니스트 창작자와 반(反)페미니스트 소비자의 ‘충돌’이라기보다는 후자의 공격에 가깝다.

일부 누리꾼들이 철석같이 믿는 바와 달리 애초 ‘메갈 손’ ‘남혐 단어’ 같은 주장은 논리적 기반이 약하다. GS25 포스터에 있는 손 모양은 흔히 쓰이는 제스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런 동작을 하고 있는 사진을 찾아내 ‘바이든과 트럼프도 메갈리아 회원 출신인가?’라고 반문하는 이들도 있다. ‘허버허버’에 대한 문제 제기도 석연치 않다. 대중매체는 물론이고 남성 전반에 적대적 태도를 취하는 몇몇 여초 커뮤니티에서조차 이 표현을 남성 비하의 맥락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찾기 힘들다. 그러나 일단 시작된 공격은, 당사자들의 해명이 나온 뒤에도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다.

‘남성혐오자 찾기’에 동참한 일부 누리꾼들은 자신들이 ‘미러링’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여성들이 먼저 남성들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으로 사회적 이슈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되갚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들은 여성 누리꾼들이 예능이나 드라마 등에 부당한 ‘문화 검열’을 가해왔고, 이제 남성들이 되갚는다고 생각한다.

가령 이들은, 인기 예능이었던 〈무한도전〉이 ‘재미없어진’ 시기가 2014년께부터라고 본다. 당시 출연자 노홍철에게 여성을 소개해주는 특집에 대해 여성 시청자들이 항의하면서 ‘여자 눈치 보기’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2018년 가수이자 배우인 아이유가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 출연하면서 수많은 악플을 받은 일도 남초 커뮤니티의 단골 화제다. 일각에서는 이 드라마가 젊은 여성과 중년 남성의 로맨스를 그려 남성 판타지를 충족시키려는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남초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이들은 이 드라마에 대한 여성 커뮤니티의 주장을 비웃는다. 2019년 EBS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에서는 여성에 대한 폭력 논란이 일었다. 출연자들은 방송 중 물리적 접촉이 없었다고 했으나 EBS는 ‘가해자’로 지목된 남성 출연자를 출연 정지시켰다. 검찰은 조사 후 폭행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 여성 누리꾼들은 무분별하게 ‘선동’에 나서고, 방송사는 늘 여기 휘둘린다는 게 남초 커뮤니티의 서사다.

‘여성들의 목소리에 휘둘린다’는 불만이 차곡차곡 쌓이던 와중 결정적 사건이 터진다. 이른바 ‘한남 유충 논문’ 사건이다. 구독자 400만에 달했던(현재 비공개) 인기 유튜버 김보겸씨(보겸)가 문제를 제기해 젊은 남성들 사이에 큰 파장을 몰고 왔다. 세종대 윤지선 교수가 2019년 학술지 〈철학연구〉에 게재한 논문 ‘관음충의 발생학’은, 보겸이 유행시킨 ‘보이루’라는 말이 여성의 성기를 의미하며, 초등학생부터 30대 젊은이까지 여성혐오 놀이에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보겸과 그 팬들은 보이루가 ‘보겸’과 ‘하이(hi)’를 합친 말이라며 명예훼손을 주장했다. 실제로 무고한 측면이 있다. 게임 캐릭터나 특정 행동 따위에 인터넷 방송인의 이름 한 글자를 붙이는 것은 보겸 외에도 널리 퍼져 있는 일종의 ‘서브컬처’에 가깝다. 윤지선 교수는 ‘보이루’에 대한 설명 일부를 수정했으나 ‘한남 유충’이라는 논문 표현에 분개하는 이들이 남았다. 미성숙한 아동에게 낙인찍는 용어(한남 유충)를 논문으로 정당화했다는 것이다. 지난 2월 보겸이 자신의 방송을 통해 이 문제를 알린 후 수개월간 논란이 일었다. 일부 유튜버나 누리꾼은 윤 교수의 온라인 강의에까지 난입해 욕설을 퍼부었다.

세종대 윤지선 교수는 유튜버 보겸(위)이 유행시킨 ‘보이루’ 표현이 여성혐오에 사용된다고 주장했다. ⓒ유튜브 〈보겸TV〉 갈무리

이 사건은 이전까지 젊은 남성들이 문화 콘텐츠에 가졌던 불만과는 궤가 다른 분노를 불렀다. 젊은 남성들이 사회적으로 ‘탄압’받는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보겸의 방송 이미지도 일조했다. 배우나 가수, 여타 인터넷 방송인들과 달리 보겸은 ‘게임을 못하는 것’으로 인기를 끈 방송인이다. 우스꽝스러운 실수를 해 게임을 망치고 화가 나 키보드를 치는 게 초창기 방송 콘텐츠였다. 게임에 미숙하고 외모도 평범한 보겸에게 감정이입을 한 젊은 남성들이 많았다. ‘보이루’나 ‘한남 유충’이라는 단어만 그들을 자극한 게 아니었다. ‘교수’가 보겸을 음해하고, 언론이 그의 주장을 받아쓴다는 공동의 피해의식이 생겨났다. ‘예능 자막이 재미없어졌다’는 수준이 아니라, ‘젊은 남성에게 불리한 시스템에 나도 당할 수 있다’는, 자못 진지한 분노가 남초 커뮤니티에서 흘러나온다.

유튜브 보겸TV의 최대 구독자 수는 약 400만명. 한국의 10~29세의 남성 인구는 약 600만명이다. 대다수 젊은 남성들이 보겸TV를 직간접으로 접해왔다. 연쇄적으로 벌어진 ‘남성혐오자 찾기’는 논문 사건 직후부터 시작됐다.

유튜브 ‘헬마우스’ 채널에서 2030 남성들의 목소리를 청취한 새로운소통연구소 역시 보겸 사건을 언급한 이메일을 다수 받았다(젠더 갈등 조정의 힌트 20대 남성에게 얻는다 기사 참조). 보겸 사건을 계기로 젊은 남성이 사회적으로 무시당한 것으로 보이는 과거의 사건들을 되짚기도 했다.

“사소하게는 PC방 차단기 실험(PC방에서 컴퓨터 전원을 끄니 남성들이 화를 냈다고 보도한 일. ‘게임의 폭력성’을 탓했다)도 있고….”

“유시민씨는 20대 남자들이 게임하고 노느라 여자들한테 안 된다더군요. 가벼운 말 한마디가 2030 남자들에겐 큰 상처지요.”

“(남성 피해자 중에서) 누구 한 명 죽어도 ‘(남성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에선 이 또한 별거 아니다’ 이렇게 넘어갈 것 같다.”

이런 갈등들이 젠더 문제에서 불거진 것은 맞다. 그러나 과거 남성들이 사용한 ‘된장녀(여성이 돈을 허투루 쓴다는 비하)’나 ‘맘충(여성이 제 아이만 생각한다는 비하)’ 등의 유행어처럼, 여성의 행태를 직접 비하하던 흐름과는 좀 다르다. ‘20대 남자들이 소외되고 있다, 불행하다’ 등 자기인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정부가 여성들에게만 유리한 정책을 시행한다며 그것에서 소외감을 느낀다. 20대 남성의 말은 들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임산부석’ ‘여성 주차’ ‘할당제’ ‘여경’ 등이 여성정책이며, 남성들에게 불공정하다는 주장도 나온다(그러나 이는 현 정부가 아닌 과거 정부 때부터 시행해온 제도다).

20대 여성 ‘발언권’은 “땡깡” 덕이다?

20대 여성은 어떻게 ‘발언권’을 얻었다고 이들은 생각할까? “땡깡” 덕이라고 본다. 일부 여성들이 집단행동을 통해 떼를 쓴 덕에 말이 안 되는 주장들이 먹혔다는 것이다. 이들은 2018년 혜화역에서 벌어진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를 중요한 사건으로 꼽는다. 이 시위의 계기는 메갈리아에서 파생한 온라인 커뮤니티 워마드다. 한 여성이 홍익대 미대에서 남성 누드모델의 신체를 휴대전화로 촬영해 워마드에 올렸다가 수사를 당하게 된 것. 시위 주최 측은 ‘피해자가 남성이라는 이유로 수사기관이 더 적극적으로 수사한다’고 주장했다.

2018년 7월7일 서울 혜화역에서 열린 ‘불편한 용기’ 시위. 몰카 피해자가 남성이기에 경찰이 더 적극적으로 수사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시사IN 신선영

여기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남성 가해자의 경우 더 구속되고 엄벌이 가해지는 비율이 더 높았다. 여성 가해자인 경우 일반적으로 가볍게 처리됐다. (…) 그게 상식이다. 편파 수사라는 말이 맞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시위에서는 문 대통령을 향한 ‘재기해’라는 구호가 나왔다. 2013년 한강에 투신했다가 사망한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의 이름에서 따온 말로, ‘자살하라’는 의미이다. 민갑룡 당시 경찰청장이 이 시위를 직접 방문하고, 정현백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김부겸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현 국무총리)은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일부 젊은 남성들은 “어안이 벙벙했다”라고 말한다. 이들은 혜화역 시위를 ‘일베저장소’ 회원들의 ‘세월호 폭식 시위’에 빗대고, 그들을 비판하지 않는 정부와 언론을 비판한다. 한 남성은 새로운소통연구소에 보낸 이메일에 “언론은 (시위의) 잘 포장된 모습만 보여줬다. 현장을 (언론이 아니라 인터넷 방송인들의) 유튜브 생중계로 봤다. 비인륜적인 행위와 구호가 충격적이었다”라고 썼다. 시위 현장을 비판적 입장에서 생중계한 남성 유튜버 ‘마재TV’의 영상 조회수는 310만 회에 달한다.

새로운소통연구소에 보내온 의견 중에는, 페미니즘이 수용되고 젊은 반(反)페미니스트들이 밀려난다며 “사회가 집단적으로 정신병에 걸렸다”는 주장도 있었다. ‘페미니즘은 정신병’이라는 구호는 남초 커뮤니티에서 인기다. 사회의 정신상태를 걱정하는 오늘의 20대 남성들은, 편의점 포스터 속 은하수에서 모욕적 의미의 손가락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

기자명 이상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prode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