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없는 개는 어디에서 살고 있을까? 최근 정윤영씨(46·왼쪽)가 들개를 만난 곳은 전주의 작은 시보호소다. 주민들이 “들개가 돌아다닌다”라고 민원을 넣으면 지자체·국립공원 담당자들이 개를 포획해 시보호소에 맡긴다. 정윤영씨가 찾아간 시보호소는 작은 동물병원에 딸린 어두운 창고였다. 정씨는 이틀 후면 안락사될 어린 개들에게 가족을 찾아주기로 하고 집으로 데려왔다. 시보호소의 법정 보호기간은 약 10일이다. 그 기간에 입양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개들은 ‘안락사’라는 이름으로 목숨을 잃는다.
종이책 배송이 불편하셨나요?
월 9,900원으로 (최신 기사)를 구독하세요
별도 애플리케이션 내려받기 없이 PC나 모바일에서
광고 없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종이책‧전자책 정기구독자와 월 일정액 (월 20,000원 이상)
정기 후원자는 로그인 후 을 볼 수 있습니다.
김다은 기자
다른기사 보기 midnightblue@sisain.co.kr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해외 입양 위한 ‘켄넬링 교육’이라고? [임보 일기]
어느 대형 동물단체가 있다. 활동가들을 줄 세워놓고 자신들이 보호(한다고 주장)하는 개가 사람을 무는지 테스트를 했으며, 단체의 대표는 그 상황을 ‘훈육’이라고 했다. 그들의 억지...
-
반려동물 산업 육성이라는 새로운 공포 [임보 일기]
모 동물 장례식장 체인점이 부산시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반려동물 산업 활성화 및 반려 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공동협력”을 하겠다는 뉴스가 눈에 띄었다. 협약 주요 내용은 ‘반...
-
제비 집 망가뜨리는 인간의 마음에 대하여 [임보 일기]
도저히 말이 통하지 않는 상대와 싸워야 할 일이 많다. 사는 게 그렇다. 싸움이 없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좋은 싸움이 되려면 전제되어 있는 바닥이 비슷해야 하는데, 어떤 사람들...
-
개 식용 종식 누구를 구원하나? [임보 일기]
지난해 1월 ‘개 식용 종식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여야 모두 찬성하고 김건희 여사까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그전에 오랫동안 벌어졌던 개 식용 종식 논쟁이 마무리되는 모...
-
동물과 ‘함께’ 민주주의를 응원하는 방법 [임보 일기]
‘민주묘총’ ‘전견련’ ‘햄네스티’ ‘장수풍뎅이 연구회’···. 2016년 말, 박근혜 퇴진 집회에 동물 깃발이 등장했다. 동물에 관심 갖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지던 시기였다. 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