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스물서이 때(23) 시집을 와서 다녔으니까 이제는 50년도 넘었지. 그때는 이렇게 큰 시장이 있는지도 몰랐어. 아버지가 하는 말이 시집을 가면 여기로 장을 보러 올 거다. 파수(강원도 동해시 이로동) 안에 이 장이 제일 크다 이런 소리를 해. 그런데 와서 보니 정말 크고 좋더라고.”
강원도 동해시 천곡동에 사는 심옥선씨(77)는 결혼 후에야 북평오일장을 알게 됐다. 그때는 지역 주민들에게 ‘뒷들장’이라고 불리던 시장이었다. 골목과 골목을 가득 채운 시장은 지금도 그 모습을 잃지 않고 있다. 북평오일장은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서 3일과 8일로 끝나는 날에 열리는 강원도 최대 규모의 전통 오일장이다. 조선 정조 20년인 1796년 시작되어 230년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한다.

강원도의 산과 바다에 인접한 시장답게 오징어, 대게, 도루묵 등 제철 해산물과 각종 버섯류가 유명하다. 한때 쇠전(우시장)이 열리던 곳으로 소를 거래하기 위해 먼 거리를 온 사람들이 배를 채우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2008년 우시장이 삼척으로 이사했지만, 소머리나 내장을 구해 음식을 만들던 소머리 국밥집들은 지금까지도 국밥거리를 조성하며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3남1녀의 어머니인 심옥선씨는 이른 추석장을 보러 북평오일장에 나왔다. 시금치와 도라지, 생선류를 구매하고는 단골 미용실에 들러 머리까지 다듬었다. “제일 큰 손주가 스물여덟인데 아직 장가를 안 가서 아마 이번 추석에도 올 거야. 손주들이 많아서 북적북적할 거라 음식 준비도 미리미리 해놔야 해. 이렇게 가까운 곳에 북평장이 있으니까 좋지. 추석상 차리기에 제격이라니까.”







-
폐의약품, 어디에 어떻게 버리셨나요? [시선]
“폐의약품을 어떻게 처리하셨나요?”①종량제 봉투 ②싱크대나 변기에 배출 ③집에 계속 보관 ④재활용품 수거함에 배출 ⑤약국, 보건소, 주민센터 수거함 또는 우체통 배출.9월5일 서울...
-
꽃게 풍년은 좋은 일이지만··· 서해 바다에 쌓이는 일회용 폐그물 [시선]
햇볕을 받아 하얗게 탈색된 꽃게 사체들이 머리카락보다 가는 닻자망 그물과 뒤죽박죽 엉켜 산을 이루고 있었다. 7~8월 금어기가 끝나고 본격적인 가을 꽃게 조업이 시작되던 9월1일 ...
-
수라갯벌 새들, 남태령도 넘어갑니다 [시선]
큰뒷부리도요새는 서식지인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를 출발해 번식지인 알래스카·시베리아까지 지구의 남반구와 북반구를 종단하는 도요새과의 철새다. 번식과 서식을 위해 1만3000㎞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