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있으라’ 침묵 행진을 처음 제안한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 ⓒ시사IN 조남진
‘가만히 있으라’ 침묵 행진을 처음 제안한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 ⓒ시사IN 조남진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33)은 경기도 부천에서 태어나 안산에서 성장했다. 세월호 참사 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정부의 책임을 묻기 위해 ‘가만히 있으라’ 침묵 행진을 제안했다. 행진 도중 연행된 그는 6년간의 법정 싸움 끝에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판결을 받았다.

“당시 대학생이었고, 4월16일이 중간고사 전 주였어요. 학생회 회의실에서 수업시간을 기다리다 세월호 속보를 봤어요. 처음에 ‘전원 구조’라는 속보를 보고 안심하고 수업을 들으러 갔죠. 제가 안산에서 오래 살아서 단원고를 잘 알아요. 교복이 예뻐서 친구들이 많이 가려고 했거든요. 아마 제 동기들이 2회 졸업생일 거예요. 수업을 다 듣고 나와서 오보였다는 것을 알았는데, 한 명도 구조를 못할 거라는 생각은 전혀 안 했어요.

정치활동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건 세월호 특별법을 만들기 위해 유가족들이 단식할 때였어요. 그들도 국민이고, 참사의 유족이고, 100만명 넘는 국민의 서명을 받았는데 여당 정치인들이 그들을 국민이 아닌 것처럼 대하는 모습에서 충격을 받았어요. 뭔가 한참 잘못되었다는 걸 깨닫게 되었죠. 저에게 세월호가 남긴 질문, ‘살아남은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것은 제가 정치를 하면서도 계속 답을 찾아가는 과정인 것 같아요.

세월호 이전에 한국 사회는 참사가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이 적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세월호 유가족들이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의 권리를 요구했고, 사회적 지지를 모아가는 데 긴 시간을 거쳐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생각해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하는 국가의 책무에서 참사는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라는 인식 전환이 분명히 있었죠.

진상을 규명하고 좀 더 안전한 사회, 참사가 반복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어요. 그리고 가장 최근에 그 노력의 결과로 ‘사참위(사회적참사조사위원회) 보고서’와 권고 사항들이 나왔어요. 굉장히 오랜 시간 사회적 진통과 합의를 통해서 이런 권고 사항들이 나왔으면 그 결과를 국가 운영에 반영시키기 위해 정부가 노력해야 하는데 정부 부처에서 너무 무관심한 것 같아요. 오랜 시간 유가족과 시민들이 결과물을 만들고자 노력했는데, 또다시 벽에 부딪혀 있는 상황이 너무 아쉽고 죄송한 마음도 들었어요.

참사의 트라우마는 극복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함께 성장하는 것이라고도 하고, 또 상처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굳은살이 박이는 과정이라고도 해요. 상처를 회피하지 않고 직시하는 것, 그것이 제가 약속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해요. 회피하지 않겠다, 그리고 그 상처를 직시하겠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기자명 조남진 기자 다른기사 보기 chanmool@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