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기후행동' 학생들이 2월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정부의 에너지 공공성 확대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실관계부터 바로잡자. 2022년 구글코리아 ‘올해의 검색어’에 ‘기후변화’가 1위에 올랐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제칠 정도로 최다 검색어였다는 뉴스가 쏟아졌다. 정확한 사실이 아니다. 가장 많이 검색한 단어가 아니라, 지난해에 견줘 급상승한 단어다. 정말로 최다 검색어였다면, 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은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

물론 10여 년 전에 비하면 한국 대중의 관심과 이해는 크게 늘었다. 적어도 기후위기가 음모론이라는 사람은 이제 거의 없다(있기는 있다). 그러나 언론 입장에서 보면 변화의 속도가 더디다. 서구에서는 기후위기 저널리즘이 자리 잡은 지 오래이고, 국내 몇몇 언론에서도 관련 팀을 운영하고 있다. 고민이 깊을 것이다. ‘반응’이 없으면 언론은 위축된다. 우리 이거 계속 써도 돼?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기후위기는 우리 삶 전반에 걸쳐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슈다. 자동차부터 옷까지, 삼성전자·포스코부터 동네 카페까지, 도시부터 농촌까지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체제로 나아가야 한다. 관련 토론회나 세미나에 참석할 때마다 묘한 기분이 든다. 학자, 변호사, 증권맨, 관료 등 우리 사회 엘리트가 다 모여 있다. 무슨 말이냐면, 대중이 관심이 있든 없든 이 변화는 닥쳐온다는 것이다. 대중이 모르는 거대한 변화란, 언제 어떻게 오든 비극이다.

‘2023 기후경제 전쟁’이란 시리즈는 그런 고민의 결과다. 기후위기가 실은 우리의 ‘먹고사는’ 문제를 직격하는 것임을 환기시켜볼 작정이다. 무슨 대단한 인사이트를 담지는 못할지라도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려 한다. 기후위기의 눈으로 경제를 보는 법이랄까.

최근 에너지 위기는 어쩌면 고마운 일이다. 난방비 인상 이슈는 우리 사회의 에너지 문제를 들여다보게끔 해주고 있다. 평소라면 안 팔릴 이슈다. 윤석열 정부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철 지난 ‘원자력 제일주의’를 들고나온 덕에 논쟁의 판을 열어주었다. 윤석열 정부의 ‘역주행’ 덕에, 기후위기 기사를 쓸 추진력을 얻게 됐다.

기자명 이오성 기자 다른기사 보기 dodash@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