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교수의 매력은 관심의 폭이 넓으면서도 이해가 깊다는 점이다. 우리 문화의 연원을 깊이 있게 파고들지만, 한편으로는 세계를 누비며 우리 문화와의 상관관계를 탐구한다. 그보다 자료를 더 많이 본 학자는 있을 수 있지만 답사를 더 많이 한 학자는 아마 없을 것이다. 지금도 꾸준히 해양 문화 탐방을 하고 있는데, 일전에 이스탄불 톱카프 궁전에서 열심히 유물 사진을 찍는 그를 본 적이 있다. 기자가 어깨를 툭 치자 그가 돌아보았는데, 코끝에 땀방울이 알알이 맺혀 있었다.
1995년 〈한겨레신문〉에 연재되고 이듬해 출간된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는 그를 스타 민속학자로 만들어주었다. 무려 60여만 권이 팔렸다. 주 교수는 최근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 2권을 한데 묶은 합본호를 내며 ‘금줄 없이, 도깨비 없이 태어난 세대를 위하여’라는 부제를 달았다. 최첨단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라 할 수 있는 민속과 풍속을 전하는 소회가 이 말에 담긴 것으로 보인다.
옛이야기를 들려주듯 시원시원하게 써내려간 ‘글맛’과 풍부한 도판, 다양한 현장 사진이 주는 ‘눈맛’에 책이 수월하게 읽힌다. 우리 고유의 것, 그리고 예전 것에 대한 책이지만 여행할 때 가져가서 읽기 좋다. 우리 문화를 이해하면 그들의 문화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네 남사당패가 장마당을 들썩이게 하는 모습이 EDM DJ가 좌중을 휘어잡는 모습과 비슷하고, 우리 금줄과 레드카펫의 의미가 서로 닮았다.
고재열 기자
다른기사 보기 scoop@sisain.co.kr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문송’하지 않아도 괜찮아
이른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기자로서 직업적 고민이 크다. 일단 빅데이터니 머신러닝이니 블록체인이니 하는 신기술을 이해부터 해야 기사를 쓸 수 있지 않겠는가. 논문용 통계나 겨우 ...
-
대구, 박정희 패러다임을 넘다 [새로 나온 책]
빌 게이츠의 화장실 이순희 지음, 빈빈책방 펴냄 “수세식 변기를 최고의 변기로 여기고 사용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다.” 야외 배변으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 사람들을 돕고자 나선 빌 ...
-
한국인은 어떻게 ‘발견’되었나
우리는 어떤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을 규정하려고 한다. 이런 시도는 일종의 고지전, 즉 ‘정치적 투쟁’을 동반한다. 이 싸움은 그 치열함에도 불구하고 사건의 본질과는 동떨...
-
0.75평 독방에서 19년을 산 사람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고통 속에 있는 이들에게 용기와 격려를 주는 사람.’ 박정희 정권 시절 고문 피해자인 서승 교수(리쓰메이칸 대학)를 이르는 말이다. 1971년 4월, 대통령...
-
전집 넘치는 한국은 ‘세계문학 공화국’
인구 5000만에 불과한 한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세계문학전집’을 가진 나라로 이야기된다. 2005년 즈음부터 시작된 세계문학전집 붐은 2010년에 무려 10여 종에 이르...
-
작가와 주인공이 맞닥뜨린 마음들
나에게는 ‘돌려보지 않은 마음의 열쇠’ 같은 것이 몇 개 있다. 항상 마음을 짓누르고 있지만 한 번도 열쇠를 돌려서 열어본 적이 없는. 첫 번째 열쇠는 아버지에 대한 알 수 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