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스토리


끝났다 뉘 말하는가


경로 이탈한 ‘막가파’ 외교의 결과


“돈을 내는 행위만으로 배상이라고 할 수 없다”


‘그 합의’에는 피해자들이 없다
 

눈치 볼 때 보더라도 ‘이것만은’…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국제사회의 초점은 타이완으로 옮아갔다. 타이완 외교부가 ‘일본이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배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일본 정부에 압박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1월6일 린융러(林永樂) 타이완 외교부장은 “일본군 위안부로 내몰린 여성들의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계속 협상할 것이다. 일본 측에 조기 회담 개최를 요구했다”라고 말했다.

하루 앞서 타이완 외교부는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는 단체 ‘부녀구원 사회복리사업 기금회(부녀구원회)’ 관계자들과 만나 협상 전략을 논의했다. 이들은 일본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와 명예 회복을 요구하기로 입을 모았다. 협상을 앞두고 자국의 위안부 생존자나 지원 단체와 소통하지 않았던 한국 정부와 대비되는 모양새다. 부녀구원회는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성명을 발표하고 양국 정부를 이렇게 비판했다. “모호하고 기만적인 협상 결과가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 금전 보상에만 치중하면서 일본 정부의 역사적 책임에 대한 반성은 보이지 않는다.”

캉수화 부녀구원회 대표(마이크 든 이)가 타이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최근 1∼2년 사이 타이완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일본군 위안부 역사박물관이 건립되는가 하면 마잉주 타이완 총통은 직접 위안부 할머니를 찾아가거나 총통부에 초대해 만찬을 나누었다. 그는 1월1일 신년사에서도 “일본에 타이완 국적 위안부에게 배상과 공식 사죄를 하라는 요구를 강화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타이완은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에 귀속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안고 있다. 일본과 미국과의 관계 강화에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처지인데도 위안부 문제만은 직시하고 있다. 부녀구원회는 1992년부터 위안부 생존자에게 생활비·의료비 등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왔다. 캉수화(康淑華) 대표는 “할머니가 돌아가시면 일본은 압력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부녀구원회가 파악한 위안부 피해자는 총 58명이다. 이 가운데 타이완 원주민은 12명이고, 현재 4명이 생존해 있다.

기자명 송지혜 기자 다른기사 보기 song@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