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상권활성화재단 노재정 사무국장(37)은 드물게 군 단위 기초 지자체에서 활동하는 청년 문화기획자다. 서울에서 ‘에이스 벤추라’라는 문화예술 교육사업체에서 일하던 그는 청소년 문화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그동안 쌓은 노하우를 가지고 고향에서 청소년 문화 교육을 하기 위해 내려왔다. 그런데 지역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지역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부여는 보부상의 전통이 있는 고장이다. 재래시장이 계속 인기를 누려왔는데 지난 몇 년 동안 활력을 잃고 말았다. 노 사무국장은 기존의 재래시장이 왜 침체되었는지 분석했다. 투자가 오히려 독이 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부여에는 상설시장과 오일장이 있었는데 관광객들이 찾는 곳은 오일장이었다. 정부 투자를 받아 오일장 시설을 개·보수하고 상설화했다. 그러자 기존 상설시장과 차별화되지 않으면서 관광객들에게 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세 가지 방식으로 답을 찾고 있다. 하나는 청년 장사꾼을 유치하는 것이다. 부여군에 있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졸업생들 중에서 창업 의지가 있는 사람을 모집해 세 팀의 창업을 지원했다. 조경과 건축을 전공한 졸업생은 카페와 게스트하우스를 만들고, 도자기 공예를 전공한 졸업생은 공방을, 섬유 공예를 전공한 학생은 포목상이 유명했던 부여시장의 전통을 잇는 일을 기획한다. 노 사무국장은 이들의 가게 자리를 알아봐 주고 상인들과 인사도 시켜주고 심지어 주거 문제까지 해결해주었다. 상공회의소 소장의 오피스텔과 어머니 집의 빈방에 이들의 거처를 마련해주었다.  

ⓒ시사IN 조남진부여군상권활성화재단 노재정 사무국장은 지역과 청년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구실을 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오일장의 전통을 되살리는 일이다. ‘청년 오일장’을 열었다. 지역에 식품 관련 특성화 고등학교가 있어서 이 학교 학생들이 만드는 빵과 우유도 판매하고 양송이버섯 등 지역 특산품을 활용한 제품도 팔려고 한다. 부여의 백제 유적지를 찾는 사람은 주로 봄과 가을에 오는데 이때를 겨냥할 예정이다.

마지막 하나는 마을 살리기다. 청년의 열정과 아이디어를 보태서 마을을 활성화하려 한다. 노 사무국장은 “농촌 지역과 청년의 접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 농촌에는 창조적인 일을 맡을 청년이 필요하고 청년은 개성을 발휘할 장이 필요하다. ‘마을 캠핑장’을 운영해보고 싶어 하는 곳이 많은데 청년을 연결해서 이들이 주도하게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지역으로 간 청년들’ 그들이 이룬 성과는?

먹고 마시는 관광을 넘어 ‘이렇게 먹고사는 게’ 잘 맞는걸요 ‘도시어촌’에 가니 문화가 보이네

무진에서 황홀할 당신을 위해 1930년 광주를 여행하는 타임머신 ‘아이술크림’ 마시러 시장에 간다 괴나리봇짐 지고 부여로 오세요 ‘젤리데이’에 만나 관심사를 공유하자
기자명 고재열·임지영 기자 다른기사 보기 scoop@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