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부산대 〈채널PNU〉 임현규·유승현·박서현·윤다교 기자(맨 왼쪽부터 시계 방향).ⓒ시사IN 신선영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부산대 〈채널PNU〉 임현규·유승현·박서현·윤다교 기자(맨 왼쪽부터 시계 방향).ⓒ시사IN 신선영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이 수상자 선정을 마쳤다. 2022년 12월부터 1년간 대학 내 매체에서 나온 보도물이 응모 대상이었다. 취재보도 부문 126편, 뉴커런츠 부문 15편, 방송·영상 부문 15편, 사진·그래픽 부문 19편, 특별상 2편으로 총 177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총 22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시사IN〉 편집국장과 언론계·학계 전문가 4인이 참여하는 최종 심사에서 수상작 6편을 선정했다.

지난해 수상작들이 ‘배리어프리’ 이슈에 쏠려 있었던 반면, 이번에는 응모 단계부터 주제가 겹치는 보도를 찾기 어려웠다. 대학 담장 안팎을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가 기사화됐다. 이화여대 〈이대학보〉는 대학생의 전입신고 문제를 다뤄 대상을 받았다. 취재보도 부문에서 수상한 부산대 〈채널PNU〉, 한국외대 〈외대교지〉, 중앙대 〈중앙문화〉는 각각 스쿨존(어린이 보호구역), 외국인 유학생, 청년의 시간 빈곤 문제를 취재했다.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대신문〉은 지방의 철도 노선 폐지를 보도했다. 방송·영상 부문에서는 공익소송을 취재한 서울대 〈대학신문〉이 상을 받았다.

학내 언론의 위기가 일상이 된 어려운 시기, 높은 평가를 받은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대학기자상〉 시상 취지인 응원과 연대의 마음도 함께 보낸다.

 

■ 취재보도 부문

비공개된 스쿨존 안전, 대학 언론이 파헤치다

부산대 〈채널PNU〉 윤다교, 유승현, 임현규, 박서현

지난해 4월 부산 영도구에서 초등학생이 등굣길에 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시는 16개 구·군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안전 점검을 시행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크고 작은 사고가 부산시 내 스쿨존에서 벌어졌다. 유승현 기자(행정학·19학번)는 “전공 특성상 시가 어떤 조치를 했는지 관심이 많이 갔다”라고 말했다. 스쿨존 안전 점검 비공개 이유를 따지고 직접 조사까지 하게 된 배경이다.

〈채널PNU〉 기자들은 부산대가 있는 금정구의 스쿨존 곳곳을 닷새 동안 살펴보았다. 내리막길 미끄럼을 방지할 울타리가 부족했고, 보행자 신호등과 통학용 보행로가 없는 곳도 있었다. 불법주차 차량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채널PNU〉는 지면과 영상 매체를 함께 운영한다. 유승현 기자와 윤다교 기자(정치외교학·21학번)는 직접 본 스쿨존의 위험성을 지면에 담았다. 임현규(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서현(경영학 ·22학번) 기자는 영상으로 만들었다. 박 기자는 “심장이 덜컥 내려앉을 정도로 급한 경사가 있는 곳인데 화면에 잘 안 담겼다. 영상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신경을 썼다”라고 말했다.

기사에 따르면, 부산시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분쟁”을 우려해 이런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유승현 기자는 그 ‘압력’ 주체가 주민들이라고 들었다. “모든 스쿨존의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없는데, 각 지역 학부모들이 저마다 불만을 제기하면 이후 행정절차가 꼬인다는 이야기였다.”

스쿨존은 중요한 화두이지만 대학생이 당면한 문제는 아니다. 그럼에도 지면과 영상을 더한 대형 기획으로 삼은 이유를 물었다. 윤다교 기자는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역할이 있다고 생각했다. 지역사회에 기여할 필요를 느꼈다”라고 말했다. 유독 금정구 스쿨존을 조사한 것 역시 부산시 전체를 다니기 어려운 현실적 제약 탓도 있었지만, 지역 공동체와의 연관성을 담은 결정이기도 했다. 유승현 기자는 “우리 학교 이야기만 담는다면 그건 ‘학교 공지’에 불과하다. 우리가 사는 공간 속에서 상호 소통하고 문제의식을 키울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채널PNU〉는 이번 대학기자상 수상자 중 유일하게 서울 밖에 있는 언론사이다. 지역 언론의 어려움에 대해 유승현 기자는 “부산은 그래도 취재할 이슈가 항상 떠오르고, 피드백도 있고, 지원도 받을 수 있지만 서울과 비교하면 확실히 부족하다. 중소 지역의 대학 언론은 아마 우리보다 훨씬 더 힘들지 않을까 간접적이나마 느끼게 된다”라고 말했다. 임현규 기자는 “지방에 있는 언론으로서 지역의 소식을 전달하는 것과 학내 언론으로서 20대 청년의 시선을 반영하는 것 두 마리 토끼 모두 챙겨야 하는 시기다”라고 말했다.
 


■ 취재보도 부문 심사평

세밀함과 통찰력, 공동체에 대한 고민 빛났다

최지향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취재·보도 부문 수상작은 세 편이다. 수상작을 여럿 선정한 이유는 올해 훌륭한 출품작이 유난히 많았는데, 수상작 세 편이 정량평가에서 비슷하게 높은 점수를 받은 데다 심사위원 회의에서도 각각의 장점이 뚜렷해 어느 출품작이 월등히 더 좋은 보도인지 가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우선 〈외대교지〉의 외국인 유학생 시리즈는 대학이 국제화를 내세워 수많은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단지 등록금 수입원으로 바라볼 뿐 제대로 된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실태를 꼬집었다. 특히 칭찬하고 싶은 부분은 학사나 행정 지원의 미흡함뿐 아니라 유학생의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배려 부족, 소위 선진국과 개도국 출신 유학생이 느끼는 차별의 온도차 등 관련 문제점을 매우 세밀하고 다각적으로 살폈다는 점이다.

다음 수상작은 〈중앙문화〉의 ‘가난한 시간, 가만한 빈곤’ 기획이다. ‘신의 삶(God生)’처럼 최선을 다해 하루를 살았음을 의미하는 ‘갓생’, 늘 시간에 쫓기는 삶을 의미하는 ‘타임푸어’ 같은 용어가 유행하는 터라 주제만으로는 특별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해당 기획은 크게 두 가지 지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선 소득과 성별에 따라 청년에게 주어진 시간 재화의 규모에 큰 차이가 있다는 시각이 매우 통찰력 있었다. 더불어 관여도 높은 기사 서술 방식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의 하루를 재구성해 보여주거나, 생활 여건에 따라 실제 시간 부족을 더 심각하게 여기는지 여부를 검증한 시도가 인상적이었다.

마지막 수상작은 〈채널PNU〉의 스쿨존 관련 보도다. 지난해 4월 부산 스쿨존 초등학생 사망사고 이후 시 당국은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도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취재진은 직접 부산대학교가 위치한 부산 금정구 내 21개 초등학교의 안전 점검을 실시해 스쿨존 내 어린이 사고 건수, 신호 꺼진 횡단보도, 보행·차로 혼합로, 경사면 방호 울타리 설치 여부 등을 면밀하게 조사해 보도했다. 대학 언론이 학교의 울타리를 벗어나 학교 주변으로 관심 범위를 확대해 지역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보도다.

기자명 이상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prode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