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한국외대 〈외대교지〉 박승호·남병진 기자(왼쪽부터). ⓒ시사IN 조남진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한국외대 〈외대교지〉 박승호·남병진 기자(왼쪽부터). ⓒ시사IN 조남진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이 수상자 선정을 마쳤다. 2022년 12월부터 1년간 대학 내 매체에서 나온 보도물이 응모 대상이었다. 취재보도 부문 126편, 뉴커런츠 부문 15편, 방송·영상 부문 15편, 사진·그래픽 부문 19편, 특별상 2편으로 총 177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총 22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시사IN〉 편집국장과 언론계·학계 전문가 4인이 참여하는 최종 심사에서 수상작 6편을 선정했다.

지난해 수상작들이 ‘배리어프리’ 이슈에 쏠려 있었던 반면, 이번에는 응모 단계부터 주제가 겹치는 보도를 찾기 어려웠다. 대학 담장 안팎을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가 기사화됐다. 이화여대 〈이대학보〉는 대학생의 전입신고 문제를 다뤄 대상을 받았다. 취재보도 부문에서 수상한 부산대 〈채널PNU〉, 한국외대 〈외대교지〉, 중앙대 〈중앙문화〉는 각각 스쿨존(어린이 보호구역), 외국인 유학생, 청년의 시간 빈곤 문제를 취재했다.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대신문〉은 지방의 철도 노선 폐지를 보도했다. 방송·영상 부문에서는 공익소송을 취재한 서울대 〈대학신문〉이 상을 받았다.

학내 언론의 위기가 일상이 된 어려운 시기, 높은 평가를 받은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대학기자상〉 시상 취지인 응원과 연대의 마음도 함께 보낸다.

 

■ 취재보도 부문

외국인 유학생은 대학에게 무엇인가

한국외대 〈외대교지〉 남병진, 이승철, 박승호

한국외대의 슬로건은 ‘외대를 만나면 세계가 보인다’이다. 2023년 기준 이 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비율은 국내 5위다. 인터뷰를 위해 찾은 외대 교정 여기저기에서 외국인을 마주칠 수 있다. 그런데 〈외대교지〉 기자들은 기사에 이렇게 썼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등록금의 국제화’일 뿐이다.”

유학생들을 만나 장시간 교류한 끝에 내린 결론이었다. 남병진 기자(행정학·19학번)는 중국인 유학생 한 명과 가까이 지내면서 그들의 애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언어의 장벽뿐만 아니라 쓰는 메신저, 배달 앱까지 한국 학생들과 다른 게 너무 많았다. 문화 차이도 상상 이상이었다.” 〈외대교지〉는 ‘맨땅에 헤딩’하듯 외국인 유학생들을 최대한 섭외해 학교생활에서 아쉬운 점을 물었다.

기사에서는 제도를 주로 지적했다.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영어 트랙과 한국어 트랙 중 하나로 외대에 입학한다. 영어 트랙으로 입학한 국제학부 학생들은 한국어 수업을 듣지 않는다. 문제는 졸업을 위해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 〈외대교지〉는 TOPIK이 졸업 요건이라면 이들을 위한 한국어 강좌가 필요하다고 적었다. 한국어 트랙으로 입학하려면 TOPIK 3급 이상을 따야 한다. 그러나 일상생활이 아닌 대학 한국어 수업을 따라가기에는 이 정도로 벅차다.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과의 협업을 꺼리는 이유다. 이 밖에 학교 관련 정보, 교내 활동, 종교시설의 부재도 유학생들에게 장벽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유학생 커뮤니티에서만 어울리게 된다고 기사는 지적한다. 튀르키예 출신 유학생을 인터뷰한 박승호 기자(경제학·23학번)는 “처음에는 한국 학생과 교류하려다가도 결국 ‘졸업장만 따고 돌아가야겠다’고 마음을 바꾸는 이들이 많다”라고 말했다. 수업에서 외국인 유학생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기 일쑤고, 다른 접점을 찾기도 마땅치 않아서다. 박 기자가 인터뷰한 학생에 따르면, 튀르키예 유학생 커뮤니티에서 진행한 온라인 투표 결과, 응답자 90% 이상이 ‘한국에 온 걸 후회한다’고 답했다.

국내 학생들이 모이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불만이 많다. 몇몇은 혐오의 경계를 넘나들기도 한다. 학교에서 기도실을 만들고 전용 강좌를 여는 등 외국인 학생을 적극 지원하면 드러나는 갈등이 격화되지 않을지 물었다. 남병진 기자는 “그런 갈등이야말로 진짜 글로벌 대학으로 가는 진통이라고 생각한다. 과대 대표되는 익명 의견에 흔들릴 게 아니라 타협점을 찾아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학 언론의 위기에 대해 묻자 두 기자는 마치 준비한 듯 답변을 꺼냈다(또 다른 수상자인 이승철 기자(정치외교학·15학번)는 인터뷰에 오지 못했다). 박승호 기자는 “기사를 써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 적도 있다. 그런데 이번 취재를 하면서 내가 바뀌었다. 유학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한 사람이라도 변화시켰다면 의미 있는 기사’라고 말한 인터뷰이의 말을 곱씹는다”라고 했다. 남병진 기자는 “정보에 대한 갈증, 비판에 대한 갈증은 아직 차고 넘친다고 생각한다. 학내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그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아내는 학내 언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취재보도 부문 심사평

세밀함과 통찰력, 공동체에 대한 고민 빛났다

최지향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취재·보도 부문 수상작은 세 편이다. 수상작을 여럿 선정한 이유는 올해 훌륭한 출품작이 유난히 많았는데, 수상작 세 편이 정량평가에서 비슷하게 높은 점수를 받은 데다 심사위원 회의에서도 각각의 장점이 뚜렷해 어느 출품작이 월등히 더 좋은 보도인지 가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우선 〈외대교지〉의 외국인 유학생 시리즈는 대학이 국제화를 내세워 수많은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단지 등록금 수입원으로 바라볼 뿐 제대로 된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실태를 꼬집었다. 특히 칭찬하고 싶은 부분은 학사나 행정 지원의 미흡함뿐 아니라 유학생의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배려 부족, 소위 선진국과 개도국 출신 유학생이 느끼는 차별의 온도차 등 관련 문제점을 매우 세밀하고 다각적으로 살폈다는 점이다.

다음 수상작은 〈중앙문화〉의 ‘가난한 시간, 가만한 빈곤’ 기획이다. ‘신의 삶(God生)’처럼 최선을 다해 하루를 살았음을 의미하는 ‘갓생’, 늘 시간에 쫓기는 삶을 의미하는 ‘타임푸어’ 같은 용어가 유행하는 터라 주제만으로는 특별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해당 기획은 크게 두 가지 지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선 소득과 성별에 따라 청년에게 주어진 시간 재화의 규모에 큰 차이가 있다는 시각이 매우 통찰력 있었다. 더불어 관여도 높은 기사 서술 방식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의 하루를 재구성해 보여주거나, 생활 여건에 따라 실제 시간 부족을 더 심각하게 여기는지 여부를 검증한 시도가 인상적이었다.

마지막 수상작은 〈채널PNU〉의 스쿨존 관련 보도다. 지난해 4월 부산 스쿨존 초등학생 사망사고 이후 시 당국은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도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취재진은 직접 부산대학교가 위치한 부산 금정구 내 21개 초등학교의 안전 점검을 실시해 스쿨존 내 어린이 사고 건수, 신호 꺼진 횡단보도, 보행·차로 혼합로, 경사면 방호 울타리 설치 여부 등을 면밀하게 조사해 보도했다. 대학 언론이 학교의 울타리를 벗어나 학교 주변으로 관심 범위를 확대해 지역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보도다.

기자명 이상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prode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