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앙문화〉 정상원·김가윤 기자(왼쪽부터).ⓒ시사IN 신선영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취재보도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앙문화〉 정상원·김가윤 기자(왼쪽부터).ⓒ시사IN 신선영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이 수상자 선정을 마쳤다. 2022년 12월부터 1년간 대학 내 매체에서 나온 보도물이 응모 대상이었다. 취재보도 부문 126편, 뉴커런츠 부문 15편, 방송·영상 부문 15편, 사진·그래픽 부문 19편, 특별상 2편으로 총 177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총 22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시사IN〉 편집국장과 언론계·학계 전문가 4인이 참여하는 최종 심사에서 수상작 6편을 선정했다.

지난해 수상작들이 ‘배리어프리’ 이슈에 쏠려 있었던 반면, 이번에는 응모 단계부터 주제가 겹치는 보도를 찾기 어려웠다. 대학 담장 안팎을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가 기사화됐다. 이화여대 〈이대학보〉는 대학생의 전입신고 문제를 다뤄 대상을 받았다. 취재보도 부문에서 수상한 부산대 〈채널PNU〉, 한국외대 〈외대교지〉, 중앙대 〈중앙문화〉는 각각 스쿨존(어린이 보호구역), 외국인 유학생, 청년의 시간 빈곤 문제를 취재했다.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대신문〉은 지방의 철도 노선 폐지를 보도했다. 방송·영상 부문에서는 공익소송을 취재한 서울대 〈대학신문〉이 상을 받았다.

학내 언론의 위기가 일상이 된 어려운 시기, 높은 평가를 받은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대학기자상〉 시상 취지인 응원과 연대의 마음도 함께 보낸다.

 

■ 취재보도 부문

‘갓생 열풍’ 뒤안길 불평등한 시간을 찾아서

중앙대 〈중앙문화〉 정상원, 김가윤, 김혜림

‘갓생(God+生)’은 청년 세대에서 유행하는 신조어다. 대개 ‘모범적이고 부지런한 삶’이란 의미로 통한다. 그러면 갓생의 반대말은 게으르고 비뚤어진 삶일까? 〈중앙문화〉 보도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시간이 누구에게나 평등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청년이 자기 계발에 힘쓰는 동안 다른 사람은 생계를 유지하느라 허덕인다.

정상원 기자(사회복지학·17학번)는 ‘타이머 앱’의 유행을 보며 의문을 품었다고 말했다. “하루 동안 시간을 어떻게 썼는지 재고, 그것을 전시하는 앱이 큰 인기를 끌었다. ‘공부에만 집중한 시간이 몇 시간 이상이면 갓생’이라는 말이 돌았다. 누구나 갓생을 살 수 없음에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는 대학생이 있을 것 같았다.”

몇몇 학생의 말을 인용해 갓생 열풍을 재단하고 싶지는 않았다. 기자 세 명이 나눠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했다. 연락 닿는 대학 지인을 총동원해서 각 학과 단체 채팅방에 설문지를 돌렸다. 설계에만 한 달 반 걸린 대형 프로젝트였다. 취재와 기사는 정상원 기자와 김가윤 기자(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19학번)가 함께 맡았다. 통계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김혜림 기자(철학·21학번)가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110명의 답변을 바탕으로 기사를 썼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진으로 응답 수는 아쉬웠지만 답변 내용에는 열의가 보였다.

설문 결과 경제적 형편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달랐다. 소득이 낮은 학생일수록 시간이 더 빨리 간다고 느꼈다. 생활비를 직접 버는 학생들은 대개 가구 소득분위가 더 낮았고, 시간 사용 만족도도 더 떨어졌다. 설문과 취재 과정에서 〈중앙문화〉는 갓생이 단순히 ‘부지런한 삶’이 아니라고 여기게 됐다. 김가윤 기자에 따르면, “아르바이트가 갓생 요건인지에 대해 의견이 갈렸다. 생계에 필수적인 일은 ‘버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남는 시간’에 하는 일은 자기 관리이고, 갓생이라고 답했다”.
정상원 기자는 끊임없이 타인과 비교하는 청년들의 모습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장시간 공부하는 모습을 담은 갓생 영상이 유행한다. ‘내가 아르바이트하는 동안 쟤는 공부한다’는 압박감이 주변에 퍼져 있다. 게을러서 그런 게 아니라 시간의 총량이 부족하다는 위로를 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김가윤 기자는 “SNS에서 비롯된 비교가 일상이다 보니 스스로 체화된 것 같다. 스스로 목표치를 정하고 완수하지 못하면 죄책감을 가진다는 인터뷰이가 많았다”라고 말했다.

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방해 요소 없이 온전히 자신만을 위해 사는 삶”을 갓생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자신만을 위한 삶이라는 ‘이상’마저도 사회가 낳은 강박은 아닐지, 〈중앙문화〉 기자들은 의심한다.
 


■ 취재보도 부문 심사평

세밀함과 통찰력, 공동체에 대한 고민 빛났다

최지향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취재·보도 부문 수상작은 세 편이다. 수상작을 여럿 선정한 이유는 올해 훌륭한 출품작이 유난히 많았는데, 수상작 세 편이 정량평가에서 비슷하게 높은 점수를 받은 데다 심사위원 회의에서도 각각의 장점이 뚜렷해 어느 출품작이 월등히 더 좋은 보도인지 가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우선 〈외대교지〉의 외국인 유학생 시리즈는 대학이 국제화를 내세워 수많은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단지 등록금 수입원으로 바라볼 뿐 제대로 된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실태를 꼬집었다. 특히 칭찬하고 싶은 부분은 학사나 행정 지원의 미흡함뿐 아니라 유학생의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배려 부족, 소위 선진국과 개도국 출신 유학생이 느끼는 차별의 온도차 등 관련 문제점을 매우 세밀하고 다각적으로 살폈다는 점이다.

다음 수상작은 〈중앙문화〉의 ‘가난한 시간, 가만한 빈곤’ 기획이다. ‘신의 삶(God生)’처럼 최선을 다해 하루를 살았음을 의미하는 ‘갓생’, 늘 시간에 쫓기는 삶을 의미하는 ‘타임푸어’ 같은 용어가 유행하는 터라 주제만으로는 특별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해당 기획은 크게 두 가지 지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선 소득과 성별에 따라 청년에게 주어진 시간 재화의 규모에 큰 차이가 있다는 시각이 매우 통찰력 있었다. 더불어 관여도 높은 기사 서술 방식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의 하루를 재구성해 보여주거나, 생활 여건에 따라 실제 시간 부족을 더 심각하게 여기는지 여부를 검증한 시도가 인상적이었다.

마지막 수상작은 〈채널PNU〉의 스쿨존 관련 보도다. 지난해 4월 부산 스쿨존 초등학생 사망사고 이후 시 당국은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도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취재진은 직접 부산대학교가 위치한 부산 금정구 내 21개 초등학교의 안전 점검을 실시해 스쿨존 내 어린이 사고 건수, 신호 꺼진 횡단보도, 보행·차로 혼합로, 경사면 방호 울타리 설치 여부 등을 면밀하게 조사해 보도했다. 대학 언론이 학교의 울타리를 벗어나 학교 주변으로 관심 범위를 확대해 지역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보도다.

기자명 이상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prode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