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대학기자상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문준빈·최예나 기자(왼쪽부터).ⓒ시사IN 이명익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대신문〉 문준빈·최예나 기자(왼쪽부터).ⓒ시사IN 이명익

제15회 〈시사IN〉 대학기자상이 수상자 선정을 마쳤다. 2022년 12월부터 1년간 대학 내 매체에서 나온 보도물이 응모 대상이었다. 취재보도 부문 126편, 뉴커런츠 부문 15편, 방송·영상 부문 15편, 사진·그래픽 부문 19편, 특별상 2편으로 총 177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총 22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시사IN〉 편집국장과 언론계·학계 전문가 4인이 참여하는 최종 심사에서 수상작 6편을 선정했다.

지난해 수상작들이 ‘배리어프리’ 이슈에 쏠려 있었던 반면, 이번에는 응모 단계부터 주제가 겹치는 보도를 찾기 어려웠다. 대학 담장 안팎을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가 기사화됐다. 이화여대 〈이대학보〉는 대학생의 전입신고 문제를 다뤄 대상을 받았다. 취재보도 부문에서 수상한 부산대 〈채널PNU〉, 한국외대 〈외대교지〉, 중앙대 〈중앙문화〉는 각각 스쿨존(어린이 보호구역), 외국인 유학생, 청년의 시간 빈곤 문제를 취재했다. 사진·그래픽 부문 수상자인 중앙대 〈중대신문〉은 지방의 철도 노선 폐지를 보도했다. 방송·영상 부문에서는 공익소송을 취재한 서울대 〈대학신문〉이 상을 받았다.

학내 언론의 위기가 일상이 된 어려운 시기, 높은 평가를 받은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대학기자상〉 시상 취지인 응원과 연대의 마음도 함께 보낸다.

 

■ 사진·그래픽 부문

새벽 간이역에는 여전히 사람이 있었다

중앙대 〈중대신문〉 봉정현, 문준빈, 최예나

기획은 문준빈 기자(사진학·23학번)의 경험에서 출발했다. 그의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전남 화순군에 살고 있다. 어린 시절 할머니 댁에 가기 위해 기차를 타고 가던 곳이 간이역인 이양역이었다. 이양역이 사라진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이용객이 적은 무궁화호 노선이 차례로 없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화순은 학교에서 먼 곳이다. 〈중대신문〉 기자들에게 교통의 불편함은 생활 이슈에 가까웠다. 사진학과 수업은 경기 안성시에 위치한 중앙대 안성캠퍼스에서 주로 듣는데, 학교 근처 대중교통이 부족해 학생들이 자주 불편을 느꼈다. 봉정현 기자(국어국문학·22학번)는 기획 총괄과 데스킹 역할을 했다. 최예나 기자(사진학·22학번)는 벽지 노선이 없어지는 이유를 취재하고 관련 사진을 찍었다. 문준빈 기자는 직접 화순 이양역에 갔다.

불확실한 취재였다. 먼 출장이고 몸이 힘든 계획이었으나 사진에 무엇을 담을 수 있을지 짐작하기 어려웠다. 문준빈 기자는 “뭐라도 해야 하는 상황이고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기획이었지만 솔직히 사람이 있을지 없을지 몰랐다”라고 말했다. 전날 밤 화순에 도착한 문 기자는 다음 날 오전 6시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차 시간마다 나와서 주위를 둘러봤다. 첫차 시간에 기차를 기다리는 70대 노인을 지면에 담았다. “인물 사진은 다가가서 망원으로 찍으면 더 예쁘게 나온다. 사람이 아니라 역 전체를, ‘황량하고 찾는 사람이 적지만 그럼에도 이용객이 있는 장소’를 조명하기 위해 멀리서 찍었다.”

서울에서 태어나 자란 최예나 기자는 철도를 이용할 일이 거의 없었다. 최 기자는 “철도 정책이나 지역 간이역에 대해 거의 몰랐다. 기사를 작성하면서 문제를 알아가게 됐다”라고 말했다. 문준빈 기자는 현재 이양역의 모습에 놀랐다. “10~15년 전 기차를 타고 갔던 이양역은 이런 모습이 아니었다. 사람이 없을 뿐만 아니라 타일이 깨지고 황폐한 역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문 기자의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그에게 “과거에는 시장에 가던 사람들로 붐비던 역”이라고 알려주었다. 기자들은 이번 취재로 지방 소멸의 한 장면을 목격하게 된 셈이다.

단순히 사람이 적은 역의 모습을 보여주는 게 기획의 목적은 아니다. 〈중대신문〉 기사에는 기차에 탄 승객이 7명 있었고, 사진의 주인공인 70대 노인이 ‘역이 사라진다’는 이야기에 난색을 보였다는 대목이 있다. 그들과의 교류가 인상 깊었다고 문준빈 기자는 말했다. 그는 “학교 근처보다는 멀리 가서 그곳에 사는 사람들만의 이야기를 듣는 게 좋다. 이번 취재가 특히 재미있었던 이유다”라고 말했다.


■ 사진·그래픽 부문 심사평

어둠과 간이역, 노인이 빚어내는 울림

홍성철 (경기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중대신문〉에 게재된 사진 ‘그 역엔 여전히 사람이 있었다’는 첫 기차를 기다리는 한 노인의 모습을 카메라 앵글에 담았다.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 위치한 간이역 이양역에는 어둠이 가득하다. 초겨울의 오전 6시45분, 가로등의 불빛은 플랫폼 일부만 비추고 있다. 어둠에 절반 잠긴 간이역의 모습은 2025년 폐역이 되는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지역 주민이 줄어들면서, 한동안 지역민들의 발이 되었던 대중교통 수단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기차역이 사라지고, 버스터미널이 폐쇄된다. 젊은 사람이야 승용차를 타면 된다고 하지만 나이 든 어른들이 먼 거리를 가기 위해서는 큰 불편을 겪어야 한다. 사진 속 여성도 70대 후반 노인이다. 새벽 찬바람에 모자까지 덮어쓰고 순천행 기차를 외롭게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은 빛의 기록이다.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순간, 빛과 어둠의 비율에 따라 피사체의 모습이 달라진다. 빛과 어둠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때로는 기쁨을, 때로는 슬픔을 표현하는 것은 오롯이 사진기자의 몫이다. 사진기자는 때로는 직설적 설명을, 때로는 은유를 사용한다. 특히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직설적 표현보다 은유가 제격이다.

사진 ‘그 역엔 여전히 사람이 있었다’는 설명이 아닌 은유를 택했다. 독자들은 사진을 보며 다양한 상상을 하게 된다. 어둠(시간)과 간이역(장소), 노인(인물)의 어울림이 작은 울림으로 다가왔다. 사진기자가 가진 따뜻한 심성인 듯싶다. 그렇기에 심사위원들은 만장일치로 이 사진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기자명 이상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prode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