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동훈 (2013년부터 종이책 구독, 전북 전주시)

2553개 기업의 남녀 고용·임금 격차 데이터를 분석한 〈시사IN〉 제788호(사진)의 커버스토리는 반가운 주제를 다뤘다. 그러나 기사를 읽고 나서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기사와 기자에게 쏟아질 반응에 대한 우려였다. 가뜩이나 젠더 이슈가 갈수록 뜨거운 시점에 〈시사IN〉은 맥락에 닿지 않는 비판을 피할 수 있을까?

아니나 다를까, 인터넷으로 살펴보니 편집국장의 편지에서부터 비판적인 댓글이 가득했다. 대부분 일방적인 비난이었다. ‘남녀 임금 격차’라는 단어에만 초점을 맞춘 원색적 불평이었다.

기사를 읽어본 독자들은 알겠지만, 성별 격차가 대기업과 공기업 대부분에 만연한 문제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데이터가 드러내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에 정부와 기업이 힘을 쏟아야 함을 지적하는 기자의 메시지도 의미 있다. 남녀 임금 격차를 다룬 다음 기사를 기대한다. 모든 데이터엔 공백이 있고, 고려되지 않은 공백은 데이터 낙관주의를 낳는다.

시사 토론을 하는 스터디 멤버들과 788호 기사를 함께 읽었다. 기사 내용에 동의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데이터가 드러내는 현실을 보고 토론해보자는 취지였다. 이처럼 기사에 대해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합리적 토론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신다인 (2021년부터 종이책 구독, 서울)

현 정권이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 지난 9월 여성가족부가 결혼과 혈연, 입양에 의한 가족만 인정하는 건강가정기본법을 현행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시사IN〉 제788호에서 이와 관련해 임지영 기자는 가족에 대한 법적 정의가 왜 중요한지 분석했다.

기사에 따르면, 가족의 정의는 곧 시민의 정의와 연결된다. ‘가족을 정치화하는 것은 새로운 시민적 유대와 친밀한 결속에 기반한 사회를 구성하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전통적 가족으로 회귀하려 한다. 전통적 가족에서 돌봄은 가족의 몫, 개인의 몫이 된다. 18년간 이어진 가족에 대한 논쟁은 그동안 가족이 책임졌던 돌봄을 정부가 어디까지 책임질지에 대한 논의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논쟁을 ‘소모적’이라고 치부하며 윤석열 정부는 돌봄 관련 예산을 축소했다.

〈이상한 정상가족〉이라는 책이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에게는 전통적 가족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더 개인화된 가족정책, 개인이 더 자율적으로 살도록 지원하고 거의 모두가 겪는 공통의 문제는 집단적으로 해결하는 가족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가족은 다양해지고 있다. 〈시사IN〉은 그동안 법 테두리 밖에 존재하는 가족을 만나 취재하며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조명했다. 내 주위만 둘러봐도 연인과 같이 살거나, 친구와 살거나, 주거협동조합에서 사는 등 다양한 관계 맺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통계청에 따르면 비친족 가구원이 100만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상상하는 가족의 모습은 앙상하기 그지없다.

기자명 시사IN 편집국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