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권력은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에게 이양됐다.”

2월1일 미얀마 쿠데타는 군부 소유의 ‘미야와디 TV’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2020년 11월 총선에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득표율 83.2%로 압승하자 군부는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군부와 시민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결국 쿠데타가 감행되었다. 문민정부 2기를 목전에 둔 시점이었다. 미얀마가 군부독재라는 과거로 회귀한 지 300일이 지났다.

쿠데타에 반대하며 거리로 쏟아진 시민들이 군부의 무차별 공격을 받고 숨지거나 체포되었다. 때로 길을 지나던 어린이와 노인들도 총상을 입었다. 소수민족 반군을 향한 공습으로 난민 수십만 명이 발생했다. 공중보건체계가 무너지면서 이후 6개월여 동안 코로나19 대유행으로 70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일부 청년들은 시민불복종운동(CDM)을 그만두고, 무장투쟁 노선으로 접어들었다.

미얀마 군부는 오랫동안 지속된 국제사회의 제재 및 고립화 조치에 이미 적응해버린 상태였다. 유엔과 아세안 등 국제사회가 쿠데타에 공식적으로 경고를 보냈으나 군부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지난 4월25일 열린 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쿠데타 사태 평화적 해결을 위한 5개 합의사항을 약속했다. 즉각적인 폭력중단, 건설적 대화, 인도적 지원, 아세안 특사의 미얀마 방문 등이다. 미얀마 군부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급기야 민 아웅 흘라잉은 8월2일 ‘1년 뒤 총선 실시’ 약속을 깨고 2023년 8월까지 비상통치 체제를 이어가겠다고 선포했다. 그리고 스스로 총리에 취임했다. 동남아 연구자들은 군부의 장기 집권 플랜이 시작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 후 미얀마는 사실상의 내전 상태에 접어들었다. NLD 소속 의원들과 소수민족 대표가 중심이 된 민족통합정부(NUG)는 9월7일 군사정권을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다. 유엔총회를 앞두고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한 조치였다. “국민 방어 전쟁이 시작됐다. 미얀마 시민들은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사정권에 대해 봉기하라.”

10월18일 미얀마 군부는 반쿠데타 시위로 구금 중인 5600여 명을 석방한다고 발표했다. 10월26일 아세안 정상회의에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의 참석이 불허된 데 따른 조치였다. 하지만 나흘 후인 10월22일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는 최소 110명이 교도소에서 풀려났다가 다시 구금되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의 상황은 지난 10개월간 미얀마에서 일어난 비극의 아주 일부를 나열한 것일 뿐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국제사회의 관심은 전보다 떨어졌다. 그러나 미얀마 지역 곳곳에서 쿠데타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끊긴 적은 단 하루도 없었다. 그 현장에는 미얀마의 시민 저항과 군부 폭력을 기록하는 기자들(사진)이 있다. 미얀마 현지에서 취재 중인 기자 두 명이 쿠데타 300일을 맞아,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하기 위해 〈시사IN〉에 기고문을 보내왔다. 두 미얀마 기자가 거리에서, 그리고 감옥에서 기록한 300일을 싣는다.

기자명 김영화 기자 다른기사 보기 young@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