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이명익

10월7일 0시 기준 코로나19 국내 사망자는 425명이다.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죽음을 가깝게 느끼지만 매일같이 집계되어 공표되는 숫자에는 ‘얼굴’이 없다.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격리병동에서 홀로 맞이하는 죽음, 장례마저 치르지 못한 죽음은 애도조차 쉬이 허락하지 않는다. 이 유례없는 감염병은 우리에게 ‘좋은 죽음’이 무엇인지를 새롭게 질문하고 사유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웰다잉부터 호스피스 완화 의료, 존엄사 논쟁까지 ‘좋은 죽음’에 대한 논의가 그동안 없지는 않았다. 이에 더해 코로나19는 죽음이 사회적 불평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폭로하면서 우리가 그동안 간과해온 현실을 드러낸다. 계층·젠더·장애 유무·세대·사는 지역에 따라 죽음을 맞는 모습도, 죽음을 바라보는 의미도 달라진다. 빈곤한 사람들은 적절한 의료적 혜택을 누리지 못하거나 간병인을 둘 수 없어 홀로 집 안에 고립된다. 생계를 위해 일을 쉴 수 없는 환경,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방과 소도시에서도 죽음은 다른 모습으로 엄습한다.

나이 듦, 질병, 돌봄,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누구도 없다. ‘존엄한 죽음’은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을 발견하고 해석하는 것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시사IN〉은 의사·의료인류학자·환자·보호자·간병인 등 죽음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의 문제의식과 목소리에서 출발해 ‘죽음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현장까지 두루 살펴봤다. 기사는 총 5회 연재된다.

⓵ 당신은 어디에서 죽고 싶습니까
② ‘아픈 몸’을 거부하는 사회에게
③ 의학은 돌봄을 가르치지 않았다
④ 존엄한 죽음은 존엄한 돌봄으로부터
⑤ 죽음의 미래를 찾아서

기자명 장일호 기자 다른기사 보기 ilhostyle@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