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같이 슬퍼하자. 그러나 다 같이 바보가 되지는 말자.” 9·11 테러 직후 비평가 수전 손택의 대중 연설 내용이다. 3000명이 넘는 사람이 테러로 희생되자 미국 사회는 이성을 잃었다. 의회는 대통령 조시 부시에게 무력행사에 관한 백지수표를 넘겼고, 부시는 그 백지수표를 신나게 흔들며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를 차례로 폭격했다. 보복전쟁에 반대한 이들에게는 ‘테러를 옹호하는 것이냐’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졌다. 그렇게 바보가 된 미국의 보복이 어떻게 끝났는지는 모두가 아는 바와 같다. 미국은 천문학적인 재정적자를 떠안았고, 탈레반은 여전히 건재하며, 이라크는 지옥이 되었다.

8월4일 비무장지대 지뢰 사고가 발생한 이후 정부의 강경 대응을 마주하며, 지금 우리가 바보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섬뜩했다. 군 당국은 청와대와 논의했음을 자랑스레 내세우며 2004년 이후 중단되어왔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 ‘대북 심리전’이라고 포장되어 있지만 숨은 의도를 짐작해보면, 북한이 확성기를 조준 사격해주기를 원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마땅한 군사적 대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의 조준 사격만 이루어진다면, 즉시 10배, 100배 타격할 명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하면 위험할까? 지금 우리 군은 북한의 공격을 원한다. 제대로 보복할 명분을 위해서.

지뢰 사고 현장에 있었던 소대장은 기자회견에서 “다시 그 지역으로 가서 해당 적 GP를 부숴버리고 싶은 마음밖에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말이 소대장의 진심이라 하더라도, 사전에 조율되지 않았을 리 없다. 군 당국의 생각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싶다. 이미 “국민이 시원하게 느낄 보복 방안 검토 중”이라는 군 관계자의 발언까지 보도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는 지금 보복을 준비하고 있다. 그렇다면 물어보자. 대한민국이 몇 명이나 죽여야 ‘시원한 보복’인가. 그렇게 죽어갈 북한의 이름 모를 젊은이들은 이번 목함지뢰 사건에 어떤 책임을 지니고 있는가?
 

〈div align=right〉〈font color=blue〉ⓒ난나〈/font〉〈/div〉 〈a target=

우리는 가장 호전적인 국가를 머리 위에 이고 살아가고 있다. 북한의 무력 도발은 상수에 가깝다. 비극이지만 현실이다. 이 오래된 현실 앞에서 보복을 외치는 것은 가장 쉬우면서도 무능한 선택이고,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밖에 없는 선택이다. 천안함 사건 직후 5·24 조치로 북한과의 교류를 전면 중단했지만 결국 손해를 본 것은 한국이었다. 연평도 포격 이후 중국의 비난을 감수하면서 미국 항공모함까지 서해로 끌어들였지만 우리가 얻은 것은 없다. 어렵지만 지금의 문제를 실제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강경한 대응, 몇 배의 보복이 어떤 도움이 됩니까?”

2010년 연평도 포격 직후 국회는 ‘북한의 무력 도발 행위 규탄결의안’을 채택했는데, 당시 진보신당 조승수 국회의원은 유일한 반대 토론에 나섰다. 반대 토론을 하러 나가는 순간부터 ‘저 빨갱이 보라’며 다른 의원들의 야유가 쏟아졌다. 묵묵히 읽어 내려갔던 그때의 토론문은 지금도 유효하다. “지금 정부 일각과 일부 정치인들이 얘기하고 있는 강경한 대응, 몇 배의 보복, 즉각적인 응징, 과연 이런 것이 한반도 평화에 어떤 도움이 되겠습니까? 우리 국회는 이 문제의 원인을 짚어내고 항구적으로 평화체제를 어떻게 건설할 것인지 분명하게 담아내야 합니다.”

중상을 당한 김정원 하사와 하재헌 하사께 안타까운 마음을 전한다. 긴급한 순간에도 동료를 구하기 위해 당신들이 보였던 모습에 시민들 모두 오랜 시간 고개를 숙일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이 슬픔을 이유로 김정원 하사와 하재헌 하사를 다치게 했던 야만을 우리 손으로 다시 행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우리가 개탄하는 악을 닮아가지 말아야 한다.

기자명 임재성 (평화 연구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