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르는 나라’에 대한 읽을거리로는 크게 두 종류가 필요하다. 하나는 이론적 설명이다. 다른 하나는 구체적 이야기(소설)다. 구체적 이야기는 이론적 설명을 보완하거나 심지어 반박하면서 그 나라에 대한 ‘앎’을 입체적으로 만들어준다. 나 개인적으로는 ‘중국 공산주의’에 대한 마오쩌둥의 저서(〈모순론〉 〈실천론〉 등)를 읽던 시절, 이른바 ‘상흔 문학(문화혁명을 비판하고 부정하는 문학 조류)’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이 큰 행운이었다고 생각한다.

최근 타이완의 존재감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이 나라는 반도체 제조업의 글로벌 허브라는 점에서 한국의 경쟁국이자 협력자다. 두 나라 모두 1980년대 후반에 민주화되었으며, 지금은 권위주의 국가로부터 안보 위협을 받고 있다. 만약 중국이 실제로 타이완에 대한 무력 합병을 시도한다면, 그 1차적 여파가 미칠 나라는 한국이다.

그러나 한국에선 타이완이 ‘중국 문제’의 일부분으로만 다뤄지는 경향이 크다. 전문 연구자도 많지 않다. 타이완 소설의 경우, 1980년대까진 충야오(경요, 연애소설 작가)나 워룽성(와룡생, 무협소설가) 등의 작품이 꽤 읽혔으나 이른바 ‘본격문학’ 작품은 거의 소개되지 않았다. 다행히 지난 수년 동안 간혹 타이완의 ‘본격문학’이 번역되긴 했는데, 일단 최근 출간된 〈귀신들의 땅〉을 추천하고 싶다.

어림잡아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를 시간적 무대로 삼는 이 소설은 타이완 한 지역의 가족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고향이나 수도 타이베이에 사는 딸들, 독일로 이주했으나 연인 살해로 복역한 뒤 귀향한 아들, 이미 숨진 가족 구성원(귀신) 등의 독백으로 각 장이 구성된다. 가족 일대기인 동시에 권위주의 시대의 정치·문화적 억압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측면에서 전성기 시절 한국 문학과 비슷한 분위기다. 다만 이 소설의 중심 주제는, 좀 더 현대적인, ‘성적 지향과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이다.

본격문학으로 소개했지만 무척 재미있다. 당초엔 설 귀향 열차 안에서 ‘읽다가 자야지’라며 펴 들었는데 잠은커녕 다음 날 새벽까지 손에서 놓기 힘들었다.

기자명 이종태 기자 다른기사 보기 peeke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