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글로벌 경기를 그나마 떠받칠 요인으로 제시되었던 중국 리오프닝(reopening)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초, 중국은 ‘코로나 제로’ 정책에 따른 봉쇄를 대부분 해제(리오프닝)하면서 강력한 경기 반등을 기대해 왔다. 그러나 6월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5월의 각종 경제 지표는 매우 실망스럽다.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광공업 생산 증가율은 지난 4월의 5.6%에서 5월엔 3.5%로 오히려 줄었다. 5월의 소매 판매 역시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12.7%(예상치 13.7%)에 그쳐 4월(18%)보다 반등세가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5월의 고정자산 투자도 예상치(4.4%)보다 낮은 4.0%에 머물렀다.

특히, 그동안 중국 경제를 이끌어 온 축 가운데 하나인 부동산 부문이 크게 저조했다. 5월의 부동산 투자 규모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7.2%나 줄었다. 2023년 1~5월에 신규 건설 착공 건수는 지난해 대비 23%(바닥면적 기준)나 감소했으며, 신규 주택 가격도 2022년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5월의 수출 실적 역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5% 줄었다.

중국의 5월 청년 실업률은 20.8%를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6월14일, 중국 쓰촨성 이빈시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모인 젊은이들. ⓒAFP PHOTO
중국의 5월 청년 실업률은 20.8%를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6월14일, 중국 쓰촨성 이빈시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모인 젊은이들. ⓒAFP PHOTO

가장 심각한 것은 청년(16~25세) 실업이다. 중국은 2018년부터 매달 청년 실업률을 조사해 왔는데, 지난 5월엔 20.8%(4월엔 20.4%)를 기록했다.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전체 실업률은 5.2%를 기록했다. 이 같은 통계는 생산-소비-투자-수출-일자리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중국 경제의 회복이 지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정부, 대대적 경기부양 정책 펼칠 것으로 보여

경기침체에 따라 중국의 물가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6월9일 발표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하면 0.2% 올랐으나 전월(4월)보단 0.2% 떨어졌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4.6%나 내렸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의 2023년 경제성장 공식 목표치인 5%(역대 가장 낮은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등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대대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펼치고 있거나 계획 중이다. 이미 6월 초부터 자동차와 가전제품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국가통계국의 5월 경제 지표가 나오기 직전엔 기업의 세금 부담을 줄이는 조치를 발표했다. 6월15일엔, 중앙은행(인민은행)이 대형 금융기관에 빌려주는 자금(유동성 지원창구)의 연 금리를 2.75%에서 2.65%로 0.1%포인트 낮췄다. 같은 날, 미국 유력 경제 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정부가 인프라 투자 및 지방정부 부채상환 지원 등에 사용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1조 위안(약 179조원) 규모의 국채 발행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기자명 이종태 기자 다른기사 보기 peeke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