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나 지금이나 음식 노동은 고되었다

  • 고영 (음식문헌 연구자)
  • 2018.05.11

화제가 이렇게 붙었다. ‘밥 푸며 상 놓는 모양.’ 딱 그림 그대로다. 19세기 조선에 온 외국인에게 인기가 높았던 화가 김준근의 그림이다. 굳이 설명을 덧붙일 필요 없는 19세기 말 조선 사람의 부엌이다. 막 밥을 푸고 상을 놓고 있다.

부엌은 사람이 먹고살기 위해 발버둥친 지난 1만 년의 일상사를 아로새긴 공간이다. 정겨운 한편 엄숙한 살림살이의 중심이다. 그릇, 접시, 잔 벌여 끼니를 차리고 상을 놓는, 사람 뺀 다른 동물은 하지 않는 고도의 문화적 행위 또한 여기서 시작한다. 지금까지 그렇게 살았다. 그런데 ‘읽기’가 필요할 만큼 그 세목이 전혀 달라졌다. 그림을 천천히 읽어보자.

얹은머리에 행주치마를 두른 여성이 막 밥을 푸고 있다. 뒤에서부터 머리를 땋아 둥글게 위로 올린 머리를 얹은머리라고 한다. 이 여성을 돕는 머리 땋은 소녀는 소반에 숟가락과 종지를 놓는 참이다. 노란 채색이 놋(유기) 식기임을 드러낸다. ‘살강(선반)’에는 노란 놋 식기와 분명히 구분되는 백색 식기가 놓여 있다. 조선 시대 내내 중간 계급 이상의 식기는 유기 반, 자기 반으로 이루어졌다.

살강도 어려운 말이다. 부엌의 벽 중턱에 드린 선반을 살강이라고 한다. 신분 낮은 사람 또는 상 놓고 밥 먹을 주제가 못 되는 여성은 부뚜막에 엉덩이 붙이고 살강 아래서 후딱 보잘것없는 음식을 먹어치웠다. 상 받은 사람들이 물린 남은 밥이 있으면 ‘대궁밥’을 먹기도 했다. 대궁밥을 한자로 쓰면 좀 서글퍼진다. 말맛이 좀 다르지만 굳이 한자로 쓰면 ‘잔반(殘飯)’이다.

그때는 웬만하면 저마다 소반에 차린 독상을 받아서 먹었다. 김준근이 한창 활동하던 시기에 조선에 온 영국 외교관 윌리엄 찰스는 주막에서 남성 스물다섯 명이 모두 소반에 차린 독상을 받는 광경을 목격하기도 했다(〈Life in Corea〉, 1888). 밥상의 기본은 독상이었다. 가정에서든 상업 공간에서든 상 받는 사람 수대로 소반을 갖추고 살았다. 가장 만만한 소반이 개다리소반이다. 말이 개다리지, 짱짱하게 각진 머리가 아래로 흐를수록 곡선을 그리며 가늘어지다가 살짝 코끝을 든 형상의 세련미가 대단하다. 그림을 보니 거기에 붉은 칠까지 올렸다. 양반가에서 쓸 만한 고급 소반이다. 밥을 짓고, 푸고, 소반에 상을 차리면 이윽고 차림이 완성된다.

부엌의 상전벽해를 떠올린다

음식 노동은 고되었다. 부엌의 기본은 불과 물이다. 손가락 까딱하면 불을 쓰고, 꼭지에 손만 대고 물을 받는 부엌을 서민 대중이 쓰기 시작한 지 100년도 안 되었다. 음식의 시작은 장보기에 앞서, 나무하기였다. 나무도 귀해 솔방울, 삭정이, 낙엽을 긁었다.

부엌 바닥에 구정물을 버릴 수도 없었다. 바닥이 질척해지면 부엌일을 할 수 없으니까. 물 긷기에서 끝이 아니라, 버릴 물을 이고 지고 밖으로 나가야 했다. 전기도 그렇다. 전기는 밤에도 섬세한 요리 활동을 보장하는 조명을 제공한다. 냉장·냉동 가전을 필두로 한 온갖 주방용 가전제품은 전기 없이 불가능한 문물이다. 새 부엌에 기대 사람들은 자주 그리고 많이 음식을 하고, 그만큼 음식에 수많은 말을 붙이게 되었다. 저 소박한 그림 한 장을 앞에 두고 밥 짓고 상 놓는 부엌의 상전벽해를 떠올린다. 그만큼 불어나 넘치는 음식에 붙는 말과 말을 묵상한다.

※이번 호로 ‘옛 그림으로 읽는 우리 음식’ 연재를 마칩니다. 수고해주신 필자와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