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제플린은 데뷔 이후 〈롤링스톤〉의 지독한 혹평에 시달렸다.ⓒWIREIMAGE
레드 제플린은 데뷔 이후 〈롤링스톤〉의 지독한 혹평에 시달렸다.ⓒWIREIMAGE

록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밴드를 꼽으라면 그 대답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어떤 밴드가 이름을 올릴 것인지 정도는 추측해볼 수 있다. 그중 가장 강력한 후보로 '레드 제플린'을 선택한다면 반론 제기할 사람, 거의 없지 않을까.

통상 우리는 이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해당 분야의 전설일 경우, 데뷔와 동시에 주목받았거나 혹은 그렇지 못했더라도 소수의 비평가·팬들이 반응해 결국 레전드 반열에 등극했을 거라고 지레짐작한다. 꼭 그렇지는 않다. 등장과 동시에 평단의 혹평에 시달렸지만 결국 명예의 전당에 오른 뮤지션·밴드가 부지기수다. 일단 '퀸'과 '아바'가 그렇다. 둘 모두 어느새 대중은 물론 비평가들도 만장일치로 동의하는 전설이 됐다.

그리고 무엇보다, 레드 제플린이 있다. 그렇다. 놀랍게도 레드 제플린은 데뷔 이후 특정 잡지로부터 지독한 혹평에 시달려야 했다. 혹시 1970년대 록 신의 풍경을 다룬 영화 〈올모스트 페이머스〉를 본 적 있나? 영화에서 당대의 록 스타를 연기하는 배우가 음악 전문지 〈롤링스톤〉의 객원 필자인 주인공이 공연을 취재하러 오자 이렇게 고함친다.

“〈롤링스톤〉이야! ‘레일라(Layla)’를 무시하고, ‘크림(Cream)’을 혹평하고 레드 제플린의 모든 앨범을 깠던 그 〈롤링스톤〉이라고!”

이거, 완전 팩트다. 먼저 1969년 당시 〈롤링스톤〉에 개재되었던 레드 제플린 1집에 대한 리뷰를 살펴보자. 잡지는 음반에 실린 곡들을 향해 “상상력이 빈곤하고 설득력이 약하다(Weak, unimaginative songs)”라고 저격하면서 앨범의 대표곡이라 할 ‘굿 타임스 배드 타임스(Good Times Bad Times)’를 놓고는 레드 제플린의 모태라 할 “야드버즈(The Yardbirds)의 B면에나 어울릴 법하다”라고 평가 절하했다.

이 곡만이 아니다. 이제는 블루스 기반 하드록의 걸작이라고 누구나 인정하는 ‘베이브 아임 고나 리브 유(Babe I'm Gonna Leave You)’를 두고는 “특히 보컬 파트에서 매우 지루한 부분이 있고, 과하게 중복적이며 6분30초를 투자할 가치가 없다(The song is very dull in places (especially on the vocal passages), very redundant, and certainly not worth the six-and-a-half minutes)”라고 단언한다. 심지어 〈롤링스톤〉 측에서 “화제가 되겠다”라고 판단했는지 ‘레드 제플린 대(對) 롤링스톤’이라는 특집 기사도 발행했다.

따라서 내가 강조하고 싶은 건 이렇다. 그 어떤 평가에든 ‘절대’라는 건 있을 수가 없다. 세상은 변한다. 사람도 변한다. 가치관도 변한다. 문화적인 잣대 역시 변한다. 그때는 틀렸던 게 지금은 맞는 게 되기도 한다. 비평도 마찬가지다. 비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고, 심지어 가변적이다. 즉, 기본적으로 멸균 상태의 음악 듣기란, 더 나아가 순수한 형태의 감각이라는 건 없다. 아티스트의 이름값에 취할 수도 있고, 음악을 듣는 시간이나 당시 기분도 무의식적으로 반영되곤 한다. 요컨대 음악을 감상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지극히 주관적인 행위인 셈이다. 찾아보면 1969년, 1970년 당시 레드 제플린에게 격찬을 보냈던 비평가도 당연히 존재한다. 따라서 핵심은 이렇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는, 하나의 절대적인 객관이 아니다. 무수히 많은 주관들의 공존이다. 그것이 대중문화라면 더욱 그러하다.

기자명 배순탁 (음악평론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