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호밀밭의 반항아〉는 작가 J. D. 샐린저(니컬러스 홀트)가 주인공이다. 유명한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을 쓰기 전, 아직 작가로 인정받지 못한 작가 지망생 샐린저 이야기다. 잡지에 글이 실려야 작가가 되는 시대였다. 특히 ‘그 잡지’에 글이 실려야 진짜 작가로 인정받는 미국이었다. 마침내 그 잡지에 자신의 작품이 실리는 날, 천하의 샐린저가 어린아이처럼 기뻐한다. 세상 사람들도 그를 보는 눈이 달라진다.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한 앤디(앤 해서웨이)가 주인공이다. 어쩌다 보니 패션지 편집장 비서가 되지만, 진짜 되고 싶은 건 따로 있다. 바로 ‘그 잡지’에 글을 쓰는 저널리스트. 그가 뉴욕에 온 진짜 이유. 하지만 꿈은 어디까지나 꿈일 뿐. 전국대학기자상을 받은 앤디도 넘지 못한 그 잡지의 높은 문턱은, 헤밍웨이, 카포티, 하루키, 그리고 샐린저 정도는 되어야 넘을 수 있는 것이다.

저널리스트에게 바치는 러브레터

‘그 잡지’ 〈뉴요커〉(The New Yorker). 1925년 창간한 미국 주간지. 칼럼과 르포, 소설과 에세이가 공존하는 종합 매거진. 잡지 이름과 달리 ‘뉴욕 사는 사람’만 독자로 삼지 않는다. 10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늘 ‘힙’했던 이 잡지의 전 세계 애독자 가운데는, 미국 텍사스주 고등학생 웨슬리 웨일스 앤더슨도 있었다.

처음엔, 사진 대신 일러스트로 채운 표지에 시선을 빼앗겼다. 나중엔, 개성 강한 글쟁이들의 이야기에 마음을 빼앗겼다. 대학생이 된 뒤엔 도서관에서 수십 년 치 과월호를 일일이 찾아 읽었고, 매주 사 모은 잡지 수백 권을 바인더에 묶어 지금까지 보관하고 있다. 영화감독 웨스 앤더슨이 되어 〈로얄 테넌바움〉과 〈다즐링 주식회사〉 〈문라이즈 킹덤〉과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같은 영화를 만들었다. 이야기는 〈뉴요커〉에 실린 단편소설처럼 독특하고, 이미지는 〈뉴요커〉의 일러스트처럼 다채로운 9편의 필모그래피. 그리고 10번째 장편영화 〈프렌치 디스패치〉는 아예 영화 전체가 한 권의 ‘뉴요커’다.

프랑스 가상 도시 ‘앙뉘 쉬르 블라제’에서 발행되는 잡지 〈더 프렌치 디스패치 오브 리버티, 캔자스 이브닝 선〉 편집장이 사망한 뒤, 남은 편집실 식구들이 마지막 호 기사 4개를 고르는 설정. 그렇게 선택된 이야기가 4편의 단편영화에 담겨 장편영화로 묶이는 형식. 감독이 실제 〈뉴요커〉에서 읽은 글이 시나리오의 씨앗이 되었다. 영화로 인쇄한 매거진의 지면 안에서, 웨스 앤더슨이 사랑한 배우가 웨스 앤더슨이 사랑한 잡지를 만들고 있다. 이번에도! 역시! 또! 그의 영화는 황홀하고 사랑스럽다.

“이 영화는 저널리스트에게 바치는 러브레터”라고 그는 말했다. 이 영화를 보고 나는, 웨스 앤더슨에게 바치는 러브레터를 쓰고 싶어졌다. 이번에도. 역시. 또.

기자명 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