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케어 운영단을 준비했던 임승관 안성병원장. ⓒ시사IN 신선영

코로나19 확진자가 집에 머무른다는 개념 자체가 낯설다.

우리가 평소 아플 때를 생각해보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처음부터 병원에 바로 입원하지는 않으니까. 혹여 입원하더라도 중간에 몸이 나아지면 퇴원하고 병원을 오가며 외래 진료를 받는다. 그런데 현재 코로나19 확진자는 그럴 수 없다. 생활치료센터든 병원이든 한번 들어가면 격리 해제가 될 때까지 나올 수가 없다. 비용이 얼마 들든 모든 확진자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설에 격리하는 방법이 과연 최선일까.

팬데믹 초기에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는데.

물론 치명률이 높거나 환자 수가 적을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백신접종률이 올라가고 있고, 확진자 수는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변화된 상황에 맞춰 의료체계 운영방식도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럼 어떤 방역 모델로 전환해야 하나?

병상은 100, 200, 300⋯으로 늘어나는 일차함수다. 확진자는 200, 400, 800⋯으로 늘어나는 지수함수다. 이 간극을 메우려면 병상을 두 배로 늘리거나, 지금 있는 병상을 두 배로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자가치료는 이 중 어떤 방법인가?

기존 병상을 두 배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병상 회전율을 높이는 거다. 예를 들어 확진자가 격리 해제되기까지 2주가 걸린다고 했을 때, 그 기간 내내 병원에 있을 필요는 없다. 통증을 느낀다든가 등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기간에만 병원에 있는 것이 합리적이다. 생활치료센터라면 더욱 그렇다. 생활치료센터에서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는 비대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사실 자가치료와 다를 바가 없다. 집에서 격리를 하다 증상이 심해지거나 환자가 의사를 직접 만나고 싶을 때 잠깐 진료받고 다시 집으로 돌아올 수 있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외래 진료나 단기 입원이 가능한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그 체계를 가동하면서 환자 이송 등과 관련해 보건소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동안 공포와 불안 때문에 유보돼온, 환자의 요구와 권리에 응답하는 의료서비스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확진자의 이웃 주민들이 불안해하지 않을까?

‘집단면역’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집단면역이 코로나19 퇴치나 종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행병(epidemic)이 아니라 풍토병(endemic)처럼 일상화된다는 뜻에 가깝다. 백신접종으로 집단면역을 달성해도 내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것이다. 이 사실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모든 확진자를 시설에 격리하는 지금의 고강도 정책을 계속 이어갈 수는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좀 더 겸손해져야 한다. 우리가 미래에 닥칠 위험을 통제할 수는 없다. 다만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자는 거다. 우리가 가진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에 지금의 고비용 모델을 무한정 지속할 수 없다면, 최적화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 자가치료는 그 자체가 정답이 아니다. 자가치료에도 단점과 위험 요소가 있다. 그럼에도 자가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K방역의 기조 전환을 묻는 구체적인 첫 질문이기 때문이다.

기자명 나경희 기자 다른기사 보기 didi@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