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기회다 - 행복한 방구석 ⑰ 영화 〈러덜리스〉의 음악

 

 

그대, 혹시 〈러덜리스〉라는 영화에 대해 알고 있는가? 얼마 전 블루레이로 출시된 이 영화, 일단 음악이 끝내주니 아직 보지 못했다면 꼭 한번 감상해보기 바란다. 이것은 내가 영혼의 파트너 김세윤 작가의 영역인 영화 쪽을 침범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디까지나 영화가 아니라 ‘영화 속 음악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해볼 작정이다.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줄거리는 빼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본다. “당신은 과연 작가와 작품을 분리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 당연히 영화를 보면, 내가 왜 이런 질문을 여러분께 던졌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중음악 쪽에서 사람들은 오랫동안 진정성이라는 개념을 신봉해왔다. 이 개념의 핵심은 간단하다. “작가의 내면이 진실하다면, 그것은 작품에 스며들기 마련”이라는 거다. 자연스레 둘이 궁극에서 만나는 그 순간, 작가와 작품은 동일시된다.

상황이 변하기 시작한 건 포스트모던이 도래하면서부터였다. 작가와 작품을 별개로 사고하는 방식이 유행처럼 번져나갔다. 예를 들어 산울림의 전설 김창완씨는 어떤 인터뷰에서 “작품이 발표되면 그것은 나와는 더 이상 상관없는 것”이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그런데 진실로 한번 되새김질해보자. 창작자야 열외로 치더라도, 그것의 소비자인 우리는 진정 이런 방식으로 ‘지속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가?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어쩌면 영원히 대답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심지어 〈러덜리스〉는 이 질문을 극단적인 상황 속에 놓아버린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당신은 살인자의 노래를 오로지 미학적으로만 재단할 수 있는가? 살인자의 노래라는 것을 모른 채 그것이 진실로 아름답다고 느꼈다면, 살인자의 노래라는 것을 깨달은 뒤에는 어떤 태도를 취할 것 같은가?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어쩌면 이 음악영화가 조금은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억하기를. 뭔가가 편하지 않다는 느낌은 곧 새로운 영감이 떠오를 만한 문턱에 당신이 도달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속지 않는 자가 방황한다’는 라캉의 격언을 당신이 믿는다면, 그 방황이 불편하지 않다면 〈러덜리스〉는 ‘인생작’이 되기에 충분한 음악영화다. 잘 말해지지 않은 것을 잊히지 않는 방식으로 들려주고 보여주는, 드문 작품이다.

러덜리스(Rudderless)라는 제목처럼 주인공은 방향을 잃은 삶을 보낸다. 음악 속에서 그는 스스로의 인생에서 망명한 채 갈지자로 방황하고, 고뇌한다. 요컨대, 그것은 인생(의 비극)이라는 거대한 질문 앞에서 어떻게든 속지 않기 위한 선택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나와 당신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수시로 방향을 잃은 채 흔들리며 살아간다는 뜻이나 다름없으니까 말이다. 그저 추악하지만은 않은 생존자가 될 수 있기를, 나는 오늘도 바라고 또 바란다.

기자명 배순탁 (음악평론가∙<배철수의 음악캠프>작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