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이명익

2016년 보건복지부가 발행한 〈2015 메르스 백서〉에 따르면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은 유전학적 기술이나 첨단 의약품으로 통제된 것이 아니라 역학조사와 격리, 검역과 같은 전통적 방역 조치에 의해 ‘겨우’ 종식될 수 있었다. 당시 메르스 사태가 고발한 건 다름 아닌 위태로운 의료공공성과 보건 당국의 무능이었다.

5년 후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는 보건의료 시스템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유행에서 보건 당국은 메르스 사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뒤에는 여전히 그림자가 있다. 감염병 유행을 막기 위한 필수 자원인 감염내과가 받는 푸대접은 그대로다.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했던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은 첫 삽도 뜨지 못했고, 감염관리와 관련된 의료공공성 강화 정책은 매번 발목 잡혔다. 한국 사회는 신종 감염병 유행이라는 급한 불을 끄고 난 뒤 남은 잔불을 살피지 않았다. 전문가를 통해 5년 전과 현재 보건의료 시스템을 비교해보았다. 문제가 명확한 만큼 현장 전문가와 정책 전문가가 내린 진단과 해결책은 그리 다르지 않았다.

물론 한국 사회가 메르스에서 배운 게 전혀 없는 건 아니었다. 보건 당국과 전문가 학회는 유례없이 빠르게 진단키트를 만들어 일선 병원에 보급했다. 6시간 만에 감염 여부를 판독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키트가 보급되며 일시적으로는 환자가 늘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확진자 판정이 빨라지면 그만큼 지역사회 전파도 신속하게 막을 수 있다.

2월6일 기준으로 신종코로나 확진자는 23명으로 두 명(1·2번 환자)이 완치되었다. 아직 밝혀진 것보다 밝혀지지 않은 게 더 많지만 의학계는 신종코로나의 치사율과 중증도는 다른 감염병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전염성이 높아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높다고 한다.

2월6일 확진 환자 중 두 번째로 퇴원한 1번 환자는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중국 국적의 35세 여성이었다. 그는 18일간 인천의료원에서 입원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며 손편지 하나를 남겼다. “우리가 이 질병을 극복하는 날이 오면 의료진들을 내 고향 집에 초대하고 싶다.” 1번 환자를 담당한 인천의료원 조승연 원장은 “감염병은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공조와 서로 간의 지지가 절실히 필요한 분야가 됐다”라고 말했다. 전 세계를 강타한 바이러스를 극복하는 길 역시 그 대답에서 멀지 않아 보인다.

기자명 김연희·나경희·장일호 기자 다른기사 보기 ilhostyle@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