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메르켈’ 안네그레트 크람프 카렌바우어 기민당(CDU) 총재는 독일 남서부 자를란트주 출신이다. 2014년부터 자를란트주는 독일어와 더불어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국경을 접하고 있는 만큼 공용어를 정할 수도 있지만, 이런 사례가 흔한 건 아니다. 자를란트주의 공용어에는 지리적 인접성과 독일·프랑스 화해라는 유럽연합(EU)의 가치 외에도 역사적 이유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프랑스는 자를란트를 점령했다. 원래 프랑스의 의도는 자를란트를 하나의 독립국으로 만들어 서유럽연합(WEU)에 편입시키는 것이었다. 주민투표를 통해 자를란트는 결국 다시 서독에 합병되지만, 영어가 아닌 프랑스어를 제1외국어로 지정한다. 이런 식으로 종전 직후 서독 일부 지방을 인접국이 다스렸다가 넘어간 사례가 또 있다. 베네룩스 3국(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도 서독의 일부를 점령해서 다스렸는데, 네덜란드가 대표적이다.네덜란드, 14년간 독일 엘텐 지역 점령

ⓒGoogle 갈무리엘텐의 한 골프장 입구에 게양된 네덜란드 국기(왼쪽)와 독일 국기(오른쪽).
때는 1949년 4월23일 정오, 네덜란드 군이 당시 정부 수립 직전의 서독으로 진군한다. 네덜란드와 인접한 니더라인에 있는 엘텐 지역이었다. 네덜란드인들의 행렬은 침략군치고는 좀 기이했다. 군경과 함께 기자들, 그리고 관세관 100여 명이 들이닥쳤다. 이들은 국경 표지판을 금세 설치하고 무장 차량을 새로운 국경에 배치했다. 엘텐 주민 3600여 명은 거의 저항하지 않았다. 네덜란드의 독일 일부 지방 점령은 그때부터 1963년까지 무려 14년간 이어진다. 애초에 네덜란드가 어째서 독일의 일부를 점령했을까?

네덜란드도 한때 거대 제국이었다. 그에 대한 향수도 있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여왕의 의지가 컸다. 여왕은 독일 침공을 직접 추진했다. 연합국은 네덜란드의 움직임에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냉전 상황에서 소련에 맞서기 위해, 그리고 서유럽에서 독일 난민을 더 만들지 않기 위해 네덜란드는 당초 점령 계획보다 매우 줄어든 엘텐 지역 정도만 차지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 본토에 사는 사람들은 이 지역에 호기심을 보였다. 합스부르크-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네덜란드도 유럽 식민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매일같이 본토에서 관광객이 찾아왔고, 덕분에 엘텐 지역의 경제가 살아났다. 때맞춰 네덜란드 정부는 점포 영업시간도 자유로이 풀어줬다. 점령한 바로 그 주말부터 독일로 통근하는 사람들에게 국경통과증을 나눠주는 등 독일 내 점령지를 매우 조심스럽게 다뤘다.

독일 처지에서는 연방정부가 수립되기 전에 한 방 당한 격이어서, 콘라트 아데나워 정부는 계속 네덜란드와 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2억8000만 도이체마르크를 지불하고 다시 점령 지방을 돌려받기로 한다. 1963년 5월, 엘텐 지역은 다시 독일로 귀속된다. 조건이 있었다. 독일 깃발을 게양한다든가 국가를 튼다든가, 군경의 행진이나 연설을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독일도 막히지는 않았다. 이왕 경기가 살아나고 거래가 활발했던 엘텐의 네덜란드 제품들(특히 커피, 차, 브랜디)을 무관세화했다. 물론 네덜란드가 점령했던 지역 중 서독에 끝까지 반환되지 않은 지역도 있다. 다위벨스베르크라는 숲이다. 마리누스 판 데르 후스 판 나터르스라는 이름의 네덜란드 유럽의회 의원이 끝까지 버텼다. 주 네덜란드 독일 대사와의 일화가 재밌다. “친애하는 판 데르 후스 씨, 다위벨스베르크에 독일인 3000명이 살고 있다는데 말입니다.” 그러자 이 의원은 이렇게 주장하며 네덜란드 땅을 지켜냈다. “대사님, 독일 지도가 잘못된 겁니다. 세 가구 살고 있어요. 순찰대에 물어보시죠.”

기자명 위민복 (외교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