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정책과 경제정책은 한국 사회 정치세력이 경쟁하는 양대 축이다. 여야 정당 사이에 정책 차이도 뚜렷하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 핵위기를 대화 국면으로 전환했다. 집권 1년4개월여 만에 남북 정상회담을 세 차례 열었다. 반면 최저임금 인상으로 상징되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을 두고 야당의 공세가 거세다. 최근 부동산 시장 불안에 대처하는 능력도 시험대에 올랐다.

〈시사IN〉은 이번 조사에서 현 정부의 대북정책과 경제정책을 각각 얼마나 신뢰하는지 물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 응답자의 62.1%가 ‘신뢰한다’고 답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6.2%에 그쳤다. 반면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은 ‘신뢰한다’는 응답자가 51.2%,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46.1%로 둘의 차이가 오차범위(6.0%포인트) 안쪽이었다(〈표 1〉 참조).

ⓒ시사IN 신선영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비교적 모든 세대로부터 고른 신뢰를 얻었다. 아래는 ‘도보다리 포토존’.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은 비교적 모든 세대로부터 고른 신뢰를 얻었다. 세대별로 보면 40대 응답자의 71.4%, 30대 응답자의 68.2%, 19~29세 응답자의 64.7%, 50대 응답자의 60.8%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특히 60세 이상 응답자의 50.0%도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해 ‘신뢰하지 않는다(47.2%)’는 응답과 오차범위 안쪽의 차이를 보였다(〈표 2〉 참조). 안보 이슈에 보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고령층의 대북정책 신뢰도가 낮지 않았다.

이념 성향별로 살펴봐도 대북정책에 대한 신뢰가 고르게 발견된다. 중도(55.7%)는 물론이고 스스로를 보수라 밝힌 응답자의 47.8%도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50.1%)과의 차이는 오차범위 안쪽에 그쳤다. 진보 응답자 가운데는 84.7%가 신뢰를 보였다.

지역별로도 ‘신뢰한다’는 응답이 광주·전북·전남 84.9%, 서울 71.6%, 인천·경기 62.3%, 부산·울산·경남 57.0%, 대전·충북·충남 55.6%, 강원·제주 53.7% 순서로 높았다. 다만 대구·경북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7.5%로 ‘신뢰한다’는 응답(38.9%)보다 높은 유일한 지역이었다.

지지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88.3%)과 정의당(81.1%) 지지자에서 ‘신뢰한다’는 응답이, 자유한국당(87.1%) 지지자에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특히 높았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69.7%), 학생(65.7%), 블루칼라(63.7%), 가정주부(61.7%), 자영업(55.1%), 농업·임업·어업(54.9%) 순서로 ‘신뢰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 이상에서 ‘신뢰한다’는 응답이 66.1%로 높았다. 중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0.1%로 비교적 높았는데, ‘신뢰한다’는 응답(45.1%)과의 차이는 오차범위 안쪽이었다.

자영업자 응답자에서 경제정책 ‘불신’ 높은 편

경제정책 평가는 뚜렷이 갈렸다. 가장 두드러지는 응답자들은 자영업자다. 자영업자라고 밝힌 응답자의 59.4%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표 3〉 참조). ‘신뢰한다’는 응답은 40.2%였다.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자영업자 가운데 55.1%가 신뢰하고 44.3%가 신뢰하지 않는 것과 비교된다. 반면 화이트칼라 응답자의 61.4%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36.5%였다. 대북정책 ‘신뢰’ 응답(69.7%)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굳건한 지지 블록으로 버티고 있다. 학생 응답자의 58.9%도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대북정책은 65.7%). 그러나 응답자의 50% 이상이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던 다른 직업군에게 경제정책을 신뢰하는지 묻자, ‘신뢰한다’는 응답은 블루칼라 49.7%, 가정주부 49.1%, 농업·임업·어업 44.6%였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과는 모두 오차범위 내 격차였다(블루칼라 47.1%, 가정주부 48.2%, 농업·임업·어업 47.3%).

경제정책 평가는 세대별로도 극적인 차이를 보였다. 30대 응답자의 63.4%, 40대의 60.8%가 현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20대 응답자의 경우 ‘신뢰한다’ 응답이 56.5%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40.1%)보다 높았다. 50대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46.2%,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1.5%로 두 응답이 오차범위 안쪽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60세 이상 응답자의 60.0%는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35.8%에 그쳤다. 60세 이상 응답자의 절반(50.0%)이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했던 장면과 대비된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컸다. 광주·전북·전남은 응답자의 66.6%, 인천·경기가 54.7%, 서울이 54.4%로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반면 대구·경북은 60.3%, 강원·제주는 55.7%, 대전·충북·충남은 51.9%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부산·울산·경남은 응답자의 46.3%가 ‘신뢰한다’, 50.5%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해 격차가 오차범위 안쪽이었다.

이념 성향별로 살펴보면 보수는 불신(60.9%), 진보는 신뢰(75.0%)로 쏠렸다. 여기까지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결과다. 관건은 중도다. 스스로를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53.5%가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43.4%로 더 적었다. 앞서 중도라 밝힌 응답자의 55.7%가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고 42.4%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과는 반대다.

지지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78.4%, 정의당 지지자의 63.6%가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자유한국당 지지자의 93.5%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지지 정당이 없거나 지지 정당을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62.8%가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32.8%에 그쳤다. 이는 앞서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보다 더 나쁘다(대북정책은 ‘신뢰하지 않는다’ 56.3%, ‘신뢰한다’ 39.9%였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자의 ‘신뢰’ 응답도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에 보낸 신뢰(각각 88.3%와 81.1%)에 비해선 높지 않다.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 이상에서 ‘신뢰한다’는 응답이 56.0%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42.4%)보다 높았다.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6.0%로 ‘신뢰한다’는 응답(35.9%)보다 높았다.

기자명 전혜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woni@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