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름만 보고 일단 집어 드는 책이 있다. 이정모 서울시립과학관 관장의 책도 그중 하나인데, 과학에 문외한인 내게 이미 몇 차례 한없이 친절한 ‘과학 대중서’의 세계를 맛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그는 과학과 대중을 잇는 자칭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다.

과학에 대한 본격적인 지식보다 과학을 통해 세상을 해석하는 에세이에 방점이 찍혀 있다. 어떤 사회적 이슈나 일상의 풍경에서도 과학의 그림자를 발견해 과학적으로 빗대거나 설명해내고야 마는 경지가 놀랍다. 가령 한 중소기업의 대표가 직원들에게 보낸 단체 ‘카톡’에 불평하는 직원을 ‘물 흐리는 미꾸라지’로 비유한 걸 예로 들며 미꾸라지가 웅덩이를 흐리는 게 아니라 더러운 물에서도 버티면서 살아가는 동물이라는 걸 이야기하는 식이다.

생활 속 오해나 잘못된 상식도 되짚어준다.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를 전자파라 부르며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전자파가 발암물질을 만들어내고 인체 세포까지 손상시킨다고 믿는다. 모든 전자제품에서 전자기파가 나오는데 사람들은 유독 전자레인지와 휴대전화에 예민하다.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기파와 암의 발생 사이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데, 발암물질 등급표에 따르면 김치 정도에 불과한 것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이 남긴 것으로 유명한 “우리는 뇌의 10%만을 쓴다”라는 말도 실은 없는 말이다. 권위에 도전하고 신화를 부수는 역할을 하는 과학이 오히려 그에 복무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과학에 대한 상식을 폭넓게 얻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책을 관통하는 태도다. 김상욱 물리학자의 말을 빌리면 “과학은 지식의 집합체가 아니라 세상을 대하는 태도이자 사고방식”이라고. 과학은 잘 모르지만 과학적이면 좋겠다는데 곱씹게 되는 문장이다.

기자명 임지영 기자 다른기사 보기 tot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