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가지 지표로 보는 시·도별 현황

 

 

지역마다 삶의 질은 어떤 차이를 보일까? 의료복지, 아동복지, 과학, 치안, 삶의 만족도, 재정 등 여섯 가지 관점에서 비교했다. 17개 광역시·도별 의료복지 수준을 알 수 있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아동복지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보육업체 취약인구 비율’, 과학기술 분야의 활력을 말해주는 ‘지역 과학기술 혁신 역량 지수’, 치안 상황을 알려주는 ‘20~30대 여성 1인 가구 1000명당 치안시설 분포 현황’, 삶의 만족도와 연관성이 있는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지자체의 재정 수준을 보여주는 ‘재정자립도’ 등을 살펴봤다. 단위가 제각각인 각 지표를 백분율과 순위 등으로 변환해 방사형 그래프에 앉혔다. 모든 지표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서울의 경우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지역 과학기술 혁신 역량 지수, 치안시설 분포 현황, 재정자립도, 보육업체 접근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지표를 보여준다. 기반시설이 비교적 잘 정비된 수도권 대도시가 의료 복지, 재정자립도 과학기술 혁신 역량 지수 등의 수준이 높아 방사형 크기도 큰 편이다. 반면 전남, 경북, 전북, 강원, 충남, 충북 등 고령화 정도가 높은 시·도의 경우 방사형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작다. 여섯 개 분야 삶의 질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는 의미다.

대도시와 지방 간 가장 두드러진 지표는 자살률이다. 충북, 강원, 충남, 전남, 경북의 자살률이 높고 경기, 서울, 광주, 울산, 세종의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전남, 경북 등은 예외적으로 치안 상황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보인다. 

아동복지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보육업체 취약인구 비율’은 보육시설까지의 거리가 500m 이상인 미취학 아동의 수를 기반으로 계산됐다. 이 비율이 낮을수록 좋다. 가장 낮은 지역이 서울이며 광주, 부산, 인천, 대전이 뒤를 잇는다. 반대로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 제주, 충남, 강원, 경북 순서였다.

기자명 글·임지영 신한슬 기자, 디자인·최예린 기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