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산업 구조는 묘하다. 농장에서 병아리를 닭으로 키우는 것은 개별 농가지만, 이 양계 농가의 91%가 하림, 마니커 등 계열회사에 소속된 계약 농가다. 이들 기업은 농가에 병아리와 사료를 외상 공급하고, 농가는 이를 키우는 대가로 ‘사육비’를 받는다. 하청업체나 다름없는 농가가 받는 사육비는, 사료비와 병아리비를 제한 금액이다. 이런 구조에서 계열회사가 농가를 상대로 병아리, 사료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계약 농가가 기업과 결별하지 못하는 것은 소득안정성 때문이다. 계약 농가가 아닌 독립 농가의 경우 닭고기 시세에 따라 소득이 들쭉날쭉하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닭고기 시세가 폭락할 때면 양계장을 내팽개치고 야반도주하는 농장주가 있을 정도였다. 양계 농가 처지에서는 계열회사와 거래를 지속하는 게 안정적이다. 닭고기 기업들 역시 이런 점을 강조하며 계열화가 농가 수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혀왔다.

계열화는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시사IN〉이 김현권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자료는 조금 다른 견해를 내놓는다(왼쪽 표 참조). 2010~2015년 하림 농가의 마리당 평균 육계 수익은 439원인 반면, 독립 농가의 마리당 수익은 평균 569원이었다. 일반 농가가 하림 계약 농가보다 마리당 130원을 더 벌어들였다는 이야기다. 하림 농가 사육비 통계는 육계협회가 김현권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했고, 독립 농가 수익은 농식품부 통계자료를 이용해 산출했다. 이는 평균 수치일 뿐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계열화 구조가 양계 농가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주장에 물음표가 생기기 때문이다. 닭고기 시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면 계열화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김현권 의원은 “양계산업에도 협동조합 형태의 공익적 계열화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기자명 이오성 기자 다른기사 보기 dodash@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