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과 주중을 나누어 도시와 시골을 오가며 사는 것. 누구나 꿈꾸어보았을 법한 삶의 방식이다. 이제 아무도 한 직장에서 평생을 보내겠다고 마음먹지 않듯, 집을 꼭 한곳에만 두고 살아야 한다 생각지 않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다. 언젠가 소설가 파울로 코엘료가 1년을 3등분해 4개월은 수도 리우데자네이루에 머무르며 출판사와 계약을 하고, 4개월은 리우데자네이루 근교의 집에서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나머지 4개월은 스위스에 있는 작은 오두막으로 옮겨 칩거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거다 무릎을 쳤다. 언젠가 나도 그런 삶을 살겠다고 생각했고 제일 먼저 떠올린 곳은 아름다운 섬, 제주였다.

이 생각을 하자마자 제주에 집을 짓겠다며 건축주가 찾아왔다. 공부하는 것이 직업인 부부는, 초록으로 둘러싸인 마을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혹사당했던 눈이 편안해진다며 주말에 지낼 작은 집을 지어달라고 했다. 집은 열두어 평으로 아주 작아도 괜찮고, 간소한 모양새면 좋겠다고 했다. 방은 하나여도 괜찮고, 거실 겸 주방이 있고, 화장실 하나. 그리고 다락방 하나가 있으면 좋겠다는, 어찌 보면 평범한 요구 사항이었다.

최소한의 공간에 삶의 필수 요소들이 차곡차곡 잘 담겨 있는 작은 집을 지어보고 싶었다. 그 무렵 건축가이자 시인인 함성호씨가 쓴 〈철학으로 읽는 옛집〉을 읽고 있었는데 여기에 마침 퇴계의 도산서당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선비의 검박한 거처는 ‘삼간지제’를 엄격히 지켜 짓는 것이 법도였는데, 여기에 실용적인 쓰임을 생각한 건축가 퇴계가 얼마나 많은 궁리 끝에 ‘기본을 지키면서도 변형을 통한 편리를 얻어내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였다.

ⓒ박영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