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의 많은 사람이 전략 컨설팅의 위기를 말한다. M사, B사 등 업계를 주도하는 회사조차도 컨설팅 수요 하락에 따른 경쟁 심화로 프로젝트 단가를 낮추고 있다. 시장에 대해 더 잘 아는 영리한 현업들을 상대하기에는 컨설턴트들의 업계 경험이 부족한 까닭도 있고, 업계에서 두루 입에 오르내리는 몇몇 큰 실패 사례로 인해 명성이 하락한 탓도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근본적인 변화가 전략 컨설팅 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전 세계에 걸쳐 뻗어 있는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복잡성 증대로 인해 분석과 예측, 자문을 하기에 버거울 정도로 비즈니스 환경이 너무도 빠르게 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 시대는 과거와 불연속적인 급격한 변화가 연속되는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의 시대다.

ⓒ연합뉴스빅 데이터 수집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위는 ‘빅 데이터 분석활용센터’ 개소식 장면.

전략 컨설팅 산업과 비슷한 맥락에서, 아카데미의 권위도 위협받는다. 비즈니스 현장보다 훨씬 더 느린 현상 파악과 대응 때문이다. 이미 공공부문이나 기업에서는 권위 있는 교수들보다 관련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에게 프로젝트를 맡기는 경우가 많다. 성과물에 대한 누적된 실망 때문이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전문가’로 여겨지는 직종들은 빠른 변화 속도에 적응하지 못하고, 탄탄한 분석력에 기반한 ‘예측력’의 권위를 상실할 위험에 놓여 있다.

엄청난 양의(volume) 다양한(variety) 데이터가 빠른 속도로(velocity) 쏟아지는 빅 데이터의 대두로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된다. 각 분야의 전문성이 도전받는 우리 시대, 전문가들이 ‘권위’를 지킬 수 있게 하는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

‘파괴적 혁신’의 시대, 전문가의 ‘생존법’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무기’를 갖춰야 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이 필요한 각 분야에서 현장 경험을 갖춘 현업들보다 더 나은 인사이트를 뽑아내기 위해서다. 시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통계방법론을 섭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객의 욕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모바일과 소셜에서의 피드백도 두루 파악해야 한다. 비정형 텍스트데이터 분석을 통해 심층 니즈를 발굴할 수도 있지만, 클릭률이나 재방문율, 구매전환율 등 다양한 정형 데이터 속에서 통찰을 발굴해야 한다. 때로는 인문사회적 시각으로, 때로는 수리적 사고로, 때로는 디자인적 관점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재무제표 속에서, 때로는 전문 리포트와 논문들 속에서, 때로는 쏟아지는 빅 데이터 속에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양수겸장(ambidextrous)의 도구들을 두루 갖춰야 한다.

어느 한 사람의 전문가가 모든 분석역량을 다 갖출 수 없다면, 전문가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서로의 통찰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섭’의 장을 마련해 능동적인 상호 침투를 가속화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내 것’이라는 아집과 오만 대신, 협력 파트너의 전문성에 대한 존중과 인정, 그리고 소통 의지를 갖추는 것이다. 새로운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과거 경험에 매몰되지 않고 유연하게 가설을 수정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시장과 대중이 검증하게 하는 ‘소셜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지식이 어느 한 곳에 쌓이고, 그것이 권위가 되는 시대는 파괴적 혁신의 빅 데이터 시대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자신의 전문 분야에 매몰되지 않고 끊임없이 배우고, 다른 전문가와 소통하며, 대중의 반응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빅 데이터 수집 도구를 활용하는 겸손한 전문가만이 살아남게 될 것이다.

기자명 이종대 (트리움 이사)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