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 부산처럼 한나라당에 대형 악재가 연이어 터진 지역은 아니다. 하지만 경남에서도 바닥 민심은 상당히 요동치고 있다고 야권 인사들은 입을 모은다.

경남 사정에 밝은 한 야권 인사는 “원래 선거 공탁금 회수(15% 득표)를 목표로 하던 경남에서, 이제는 당선을 목표로 걸 수 있을 정도로 토양이 바뀌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김두관의 ‘깃발 효과’도 경남에서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물론 박근혜 전 대표 지지세가 높지만, 그러면서도 그녀가 ‘TK 후보’라는 사실 때문에 묘한 양가감정이 PK 정서에 있다. 문재인 카드가 경남에 소구력을 갖는 지점도 여기다. 거기에다 김두관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선택해본 경험도 있다.

다만 직접 뛸 후보를 어떤 선수로 내보느냐에 대해서는 부산과 경남의 감수성이 좀 다르다. 김두관 경남지사의 한 핵심 측근은 “부산은 대도시다. 바람이 제대로 불면 확 퍼진다. 하지만 경남은 다르다. 생활권도 정치 문화도 제각각이어서 지역밀착형 후보가 아니면 힘을 쓰기 어렵다”라고 경남과 부산 선거의 차이를 설명했다. 문재인 이사장을 필두로 올스타급 후보군을 꾸리려는 부산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시사IN 자료지난 지방선거 당시 유세 중인 김두관 경남도지사 후보(오른쪽).

 


경남에서 민주당의 최대 전략 지역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다. 특히 노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김해 을은 지난 4월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에 패하며 친노 진영에 충격을 줬던 곳이다. 참여당과의 단일화에서 패했던 곽진업 후보가 다시 준비 중이고, 당시부터 제기됐던 김경수 봉하재단 사무국장 ‘징발론’도 더 거세질 전망이다. 김해갑에서는 지역에 뿌리가 깊은 박영진 전 경남경찰청장, 정영두 전 청와대 행정관 등이 거론된다. 양산과 마산을(현 통합창원시)도 당선을 노려볼 만한 지역으로 든다. 각각 송인배 전 비서관(2009년 양산 재선거에서 박희태 현 국회의장과 맞붙어 4% 포인트 차 접전을 벌였다)과 하귀남 전 청와대 행정관이 오래 준비를 했다. 다들 지역 연고가 탄탄하거나 여러 차례 출마 경험이 있는 지역밀착형 후보인 것이 특징이다. 호남 출신으로 4선에 여당 원내대표까지 지낸 장영달 전 의원이 경남 의령·함안·합천 선거구 출마를 선언한 것이 이채롭다. 경남의 서부 내륙지역에 해당하는 이 지역구는 영남권 정서가 강해 경남 내에서도 야권이 힘든 지역으로 꼽히지만 과감히 출사표를 던졌다.

경남은 민노당 세가 만만치 않아 야권 연대 협상이 더욱 큰 변수가 된다. 권영길 의원이 재선했던 창원을(권 의원은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과 강기갑 의원의 지역구인 사천은 민노당 몫으로 돌아갈 확률이 크다. 진주을 역시 민노당으로의 단일화 가능성이 점쳐진다. 공동지방정부 합의에 따라 도정에 참여한 민노당 소속 강병기 정무부지사의 출마가 유력하다.

민주·민노 양당의 이해가 부딪치는 곳이 창원갑이다. 민주당은 경남도청이 있는 ‘경남 1번지’라는 이유로, 민노당은 노동자 밀집 도시 창원이라는 이유로 양보하기가 쉽지 않다. 민노당에서는 문성현 전 당대표가 창원갑 출마를 선언했고, 민주당에서는 열린우리당 부대변인을 지낸 김갑수씨가 출마 채비를 한다.

남해·하동군은 김두관 지사의 정치적 고향이어서 도지사 측에서 관심이 큰 선거구인데, 상황이 좀 묘하게 됐다. 인구 감소에 따라 국회의 선거구 조정 과정에서 이 지역이 단일 선거구를 유지하기 힘들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남해·하동군은 사천시 선거구와 합쳐진다. 강기갑 의원의 지역구다. 이대로 실현된다면 강 의원에게는 호재이고 김 지사에게는 아쉬운 결말이 된다.

 

기자명 이숙이·천관율 기자 다른기사 보기 sook@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