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기용한 여성 인사들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일단 ‘부자’가 대부분이고, 부동산 투기를 한 흔적을 갖고 있다. 인사 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한 여성들도 승승장구한다.

김윤옥 여사의 오랜 친구로 알려진 이춘호 여성부 장관 후보자는 본인과 장남 명의로 된 부동산이 40곳이 넘었다. 면적을 축소해 신고한 부동산도 있었다. “유방암 검사에서 암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자, 남편이 감사하다며 기념으로 오피스텔을 사줬다”라는 이 후보자의 발언은 누리꾼들의 공분을 샀다. 장관직에서 낙마한 이씨는 2009년 3월 KT 사외이사에 올랐고, 9월에는 EBS(교육방송) 이사장에 올랐다. 당시 민주당은 “여성부 장관에서 투기 의혹으로 낙마한 부도덕한 인사를 교육방송 이사장으로 임명했다”라고 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씨의 한 지인은 “이춘호씨는 정권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공직을 포기했다.

이춘호 EBS 이사장(맨 왼쪽부터), 박은경 외교통상부 대외직명대사, 박미석 청계재단 이사.
그런 만큼 이 정부에서 발언권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이 많이 찾아왔다”라고 말했다. 투기 의혹에 대해 “자연의 일부인 땅을 사랑한 것일 뿐이다”라고 말했던 박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 그녀는 2009년 7월부터 한승수 전 국무총리에 이어 ‘한국물포럼’ 제2대 총재 자리에 올랐다. 10월에는 세계물위원회 집행이사에 올랐다. 지난해 12월 그녀는 외교통상부 대외직명대사에 임명되기도 했다. 수자원협력 분야 외교를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었다. 외교통상부 인사제도팀 관계자는 “정부 대표 및 특별 사절 임명에 대한 법률에 따라 각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대사에 준하는 권한을 갖고 활동하게 되어 있다”라고 말했다.

박미석 전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은 논문 표절 의혹과 땅 투기 논란이 불거지면서 2008년 5월 물러났다. 박 전 수석은 이 대통령이 출연한 재산으로 설립한 청계재단 이사진에 이름을 올렸다. 이 대통령이 총애하던 이봉화 전 보건복지부 차관은 2008년 10월 쌀 직불금 사태로 취임 7개월여 만에 사직서를 냈다. 그러나 이 전 차관은 지난해 2월 보건복지정보개발원 초대원장으로 돌아왔다. 이렇게 몇몇 ‘로열패밀리’급 여성이 잘나간 것과 달리 정작 이명박 정부 3년 동안 여성의 공직 진출 점수는 낙제점이었다. 중앙 행정기관 41곳 가운데 실·국장급 여성 고위공무원이 없는 기관이 아직도 절반가량 된다. 지난 2월 ‘이명박 정부 3년의 여성 정책 평가 및 향후 과제’ 토론회에서 김경희 교수(중앙대)는 “각종 고시에서 여성 합격률이 30% 이상을 웃도는 것에 비해, 중앙 행정기관의 여성 관리직 비율은 이에 상응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남윤인순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는 “대통령의 여성 정책은 한마디로 ‘아는 여자’를 쓰는 식이라 할 수 있다. 고위 공직의 30%를 여성에게 할당하겠다고 했지만, 그 수치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여성부와 복지부만 여성이 장관 하라는 법은 없다”라고 말했다.

기자명 주진우 기자 다른기사 보기 ace@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