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는 서울의 변두리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사회생활 하면서 출신 고등학교 얘기를 했을 때 기자가 나온 고등학교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최근 변화가 생겼다. 요즘 청소년들에게는 아주 유명한 고등학교가 되어 있었다. 소녀시대의 ‘에이스’ 윤아와 ‘막내’ 서현이 졸업한 고등학교였기 때문이다.  

확실히 걸그룹이 대세다. 소녀시대, 원더걸스, 카라, 2NE1, 애프터스쿨, 티아라, 포미닛, 시크릿, 브라운아이드걸스, 씨야, 햄, JQT, 에프엑스(f(x)), 레인보우, 토파즈, 레이디컬렉션…. 최근 1~2년 사이에 데뷔한 걸그룹만 꼽아도 10팀이 훌쩍 넘는다. 걸그룹끼리 붙여서 ‘예능 월드컵 16강전’도 해볼 수 있을 만큼 많다.

2009년 걸그룹은 TV 음악프로그램을 넘어 예능프로그램으로, 드라마로 세를 넓혔고 주류 광고 모델로 안착했다. 추석 특집프로그램도 걸그룹이 차지했고 대기업 공익광고 모델로도 등장했다. 소녀시대의 ‘Gee’와 원더걸스의 ‘텔미’가 국민가요처럼 불리면서 걸그룹이 쏟아져 나왔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씨는 이를 ‘걸그룹 창고대방출’이라 표현했다.

S.E.S와 천상지희를 만든 SM엔터테인먼트가 소녀시대를 만들기까지 5년이 걸렸지만 후속 그룹인 에프엑스를 만드는 데는 2년밖에 안 걸렸다. 핑클을 배출한 DSP미디어가 카라를 만드는 데는 10년이 걸렸지만 레인보우를 만드는 데는 2년밖에 안 걸렸다. 걸그룹 열풍은 최근 10년 동안 가장 두드러진 대중문화 현상이다. 

소녀시대(위)는 원더걸스와 함께 ‘걸그룹 열풍’을 선도했다. 이제는 인기 걸그룹을 넘어서 광고계 ‘빅모델’로까지 성장했다.
19~20세에서 15~16세로 연령져 낮아져

대중은 걸그룹이 나오는 족족 흡수했다. 올해 6월18일 데뷔한 포미닛이 SBS 인기가요에서 ‘뮤직’으로 정상에 오르기까지 딱 100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몇몇 걸그룹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제대로 된 정규앨범을 내기도 전 스타 그룹의 반열에 올랐다. S.E.S와 핑클이 인기를 끈 이후 꼭 10년 만의 일이다.

걸그룹은 침체된 대중음악계의 ‘소녀가장’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소년팬과 아저씨팬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MBC 〈음악여행 라라라〉의 이흥우 PD는 “걸그룹 열풍이 불기 시작한 후 TV음악프로그램 시청률이 10%를 넘어섰다. 걸그룹이 대중음악계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분명하다”라고 말했다. 요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제작진들은 신규 멤버 충원할 때 걸그룹 멤버를 0순위로 고려한다.

걸그룹 열풍이 정점에 이르렀다는 것은 광고를 통해 알 수 있다. 인기 걸그룹 중 한 팀인 소녀시대의 경우 식음료 광고를 넘어 카드(신한카드), 휴대전화(LG전자 뉴초콜릿폰) 등 대형 광고 모델로 나서는 등 톱모델의 반열에 올라섰다. 애프터스쿨의 유이는 소주 광고에 이효리와 함께 모델이 되는 등 선배 ‘빅모델’의 전철을 밟아간다.

그러나 걸그룹이 지나치게 많이 나왔다는 것은 짐이 되고 있다. 한 대형기획사 간부는 지금 양상을 ‘걸그룹 춘추전국시대’라고 표현했다. 절대 강자도, 절대 약자도 없는 걸그룹들의 각축장이라는 것이다. 걸그룹이 많이 나오다보니 그 안에서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로 나뉘기도 한다. 대중문화평론가 김헌식씨는 “걸그룹의 실력은 엇비슷하다. 대체로 먼저 나온 그룹이 선점효과를 누린다”라고 평가했다.  

대중음악계 종사자들은 적정 걸그룹 숫자를 8팀 내외로 본다. 그룹당 멤버 수가 5명 내외이기 때문에 8팀만 되더라도 40여 명에 이른다. 현재 16팀 이상이 활동하고 있어 걸그룹 멤버만 80명이 넘는다. 내년 초반에 데뷔할 그룹도 4~5팀이 있어서 곧 100명이 넘게 된다. 이는 기억력의 한계를 벗어난 숫자다.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 성공으로 ‘걸그룹 한류’ 가능성이 열렸다.
19~20세(1989~1990년생) 여성들로 구성되던 걸그룹은 이제 15~16세(1993~1994년생) 소녀들로 구성되고 있다. 30세면 걸그룹에서는 원로 축에 든다. 요즘 활동하는 걸그룹 중에서는 1980년생인 애프터스쿨의 가희가 최고령이다. 에프엑스의 크리스탈이 1994년생으로 가장 어린데 이 그룹의 평균연령은 16.6세에 불과하다.

걸그룹 멤버들의 출신성분은 다양하다.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의 조카인 소녀시대 써니, 배우 하재영씨의 딸 쥬얼리 하주연, 가수 전영록씨의 딸 티아라 전보람 등 연예인 2세도 있고 투애니원의 씨엘과 다라, 소녀시대의 티파니처럼 교포 출신도 있다. 해외 진출을 감안해 에프엑스는 엠버라는 중국계 미국인과 중국인 빅토리아를 멤버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그렇다면 걸그룹은 어떤 원칙에 따라 만들어질까? 일반 시청자가 보기에 걸그룹은 비슷비슷한 외모와 분위기의 여성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중요하다. 소녀시대의 제시카와 에프엑스의 크리스탈은 자매간이다. 예전이라면 ‘은방울자매’나 ‘펄시스터즈’처럼 자매그룹으로 나왔겠지만 요즘은 다르다. 다양한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걸그룹의 구성원리에 대해 대중문화 전문블로거 ‘웅크린감자’씨는 걸그룹 구성의 3요소로 ‘에이스, 보컬, 막내’를 꼽았다. 그룹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에이스’, 음악성을 책임지는 ‘보컬’ 그리고 맑고 순수한 이미지로 호감도를 높이는 ‘막내’로 구색을 맞춰야 걸그룹이 대중으로부터 인기를 끌 수 있다는 것이다.  

삼촌 부대 이끌고 한류 주역 노려

다른 멤버들도 나름의 주특기가 있다. 대부분 오랜 연습 기간을 거쳤기 때문에 걸그룹 멤버들은 자신만의 특기를 가지고 있다. 춤꾼으로 래퍼로 실력을 기르고, 하다못해 성대모사라도 익혀서 자신들에 대한 호감도를 높인다. 이전에는 아저씨팬들을 의식해 섹시한 이미지의 멤버를 중용했으나 요즘은 소녀팬이 늘면서 중성적 이미지의 멤버를 포함시키기도 하다.

이런 걸그룹 멤버들에게 가장 익숙한 단어는 ‘경쟁’이다. 엄격한 오디션을 통과해 연습생이 되고 다시 치열한 경쟁을 거쳐 데뷔하기 때문에 경쟁에 익숙하다. S.E.S와 핑클이 활동하던 10년 전과 가장 다른 점은 멤버 개인 연예활동에 제한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인기가 있는 멤버는 혼자 활동하기도 한다. 심지어 다른 그룹 멤버와 활동하는 ‘합종연횡’을 한다. 

2NE1은 뒤늦게 데뷔했지만 금세 인기 그룹 반열에 올랐다.
대표적인 것이 삼성그룹 공익캠페인 ‘4tomorrow’다. 애프터스쿨의 유이, 카라의 한승연, 브아걸의 가인, 포미닛의 현아가 공동 모델이 되었다. 서로 다른 걸그룹 멤버들이 광고를 위해 일종의 ‘프로젝트 걸그룹’을 만든 것인데, 누리꾼들은 ‘걸그룹 드림팀’이 만들어졌다며 큰 관심을 보였다.

KBS 2TV 〈청춘불패〉 역시 서로 다른 걸그룹 멤버들로 출연진을 구성했다. 브아걸의 나르샤, 소녀시대의 유리와 써니, 티아라의 효민, 시크릿의 한선화, 카라의 구하라, 포미닛의 현아가 출연한다. 〈청춘불패〉의 김호성 PD는 “걸그룹 멤버들이 농촌 마을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담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걱정을 많이 했는데 경쟁코드가 익숙해서 그런지 멤버들이 선의의 경쟁을 하며 잘 어울린다”라고 말했다.      

경쟁은 필연적으로 ‘낙오’를 양산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패자부활전’ 시스템도 잘 갖춰져 있다는 점이다. 활동하던 그룹이 해체하거나 방출되어도 다른 걸그룹을 통해 부활할 수 있다. 걸그룹 ‘오소녀’는 사라졌지만 그 멤버들은 애프터스쿨(유이), 원더걸스(유빈), 시크릿(전효성)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그룹 아이써틴(i-13)은 해체되었다가 JQT로 재결성되었다. 소녀시대 연습생이던 소연은 티아라로, 원더걸스 연습생이던 김현아는 포미닛으로 데뷔했다.

경쟁 시스템이 빚어내는 흥미로운 결과는 그룹 멤버 중에서 인기가 좋은 멤버가 계속 변하는 ‘회전문식 인기’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카라의 기획사인 DSP미디어 김기영 이사는 “카라도 그렇고 많은 걸그룹에서 인기 있는 멤버가 그때의 유행에 따라 변한다. 처음에는 존재감이 없다가 볼수록 매력이 있다며 ‘볼매’로 불리는 멤버가 생겨나곤 한다”라고 말했다. 카라의 경우 데뷔 초기에는 한승연이 인기가 좋았지만 ‘엉덩이춤’이 유행하고부터는 니콜의 인기가 올라갔다. 소녀시대는 ‘구석 파니’로 불리던 티파니가 ‘중심 파니’로 불릴 만큼 그룹의 중추가 되기도 했다. 

이런 걸그룹에게 대중은 왜 갑자기 열광하게 된 것일까? 엔터테인먼트업계 종사자들은 첫 번째 요소로 불황을 꼽는다. IMF 전후 S.E.S 핑클 베이비복스가 인기를 끌었듯이 불황에 가장 저렴한 대중문화를 향유하다보니 남성 팬들이 걸그룹에 천착했다는 것이다. 자신감을 잃은 남성들의 ‘롤리타콤플렉스’를 자극하는 ‘후크송’과 자극적인 율동이 통했다는 것이다.

세대론적인 분석도 나온다. 386세대와 88만원 세대의 중간지대에 속하는 ‘298세대(386-88=298)’ 남성들이 문화적으로 부활하는 신호탄이라는 것이다. 오렌지족, 신세대, X세대 등으로 불리면서 1990년대의 풍요를 만끽했던 이들이 자신들의 취향을 자신 있게 드러내면서 걸그룹 현상을 견인했다는 것이다. 298세대인 문화평론가 홍설일씨는 “요즘 친구들 모임에 가면 걸그룹 얘기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모르면 소외감을 느낄 정도다”라고 말했다. 

이미 298세대 여성들은 대중문화계의 파워소비자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꽃미남’ ‘연상연하 커플’ ‘초콜릿 복근’ ‘짐승돌’ 등 소비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유행을 만들어냈다. 동년배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298세대 남성들도 자신들의 취향을 부끄러움 없이 드러내고 있다. SBS 라디오 〈송은이 신봉선의 동고동락〉의 남중권 PD는 “조카뻘 걸그룹 멤버들에게 ‘유이신’ ‘윤아신’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들에게는 이런 것이 너무나 자연스럽다”라고 말한다.      

걸그룹 팬인 ‘삼촌부대’는 남성 아이돌 그룹을 따라다니는, 중고등학교 여학생들로 구성된 ‘오빠부대’와 행태가 많이 다르다. ‘오빠부대’를 특징짓는 말이 ‘집착’이라면 ‘삼촌부대’를 특징짓는 말은 ‘취향’이다. 특정 그룹을 좋아한다기보다 각각의 그룹에서 자신의 취향인 특정 멤버를 콕 찍어서 좋아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팬을 넘어선 서포터즈로서 든든한 후견인이 되어주고 있다. 남중권 PD는 “소녀팬이 남성 아이돌 그룹에게 보내주는 선물과 삼촌팬이 걸그룹에게 보내는 선물은 차원이 다르다. 볼 때마다 놀란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런 걸그룹 현상은 얼마나 더 지속될 수 있을까? 내년 초 여러 팀이 데뷔하는 또 한 번의 ‘창고 대방출’이 예정되어 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한 번 정도 구조조정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 김기영 이사는 “세계 2위의 음악시장인 일본에서도 걸그룹은 5팀 내외다. 우리 음악시장이 지탱할 수 있는 걸그룹의 수도 그 이상이 되기는 힘들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한류 열풍의 또 다른 진원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흥우 PD는 “이미 원더걸스가 미국에서 좋은 성과를 거뒀다. 걸그룹들이 하향 평준화되지 않고 자신만의 색깔을 살려간다면 아시아권에서 보이그룹에 이어 한류를 다시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기자명 고재열 기자 다른기사 보기 scoop@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