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우 편집국장
소설가 송영 선생은 이 세상 사람 모두를 음악을 아는 인간과 모르는 인간, 두 부류로 분류했는데 〈시사IN〉 편집국장은 불행하게도 후자 쪽이다. 어떤 사람은 하루 종일 음악만 들어도 행복하다는데 이는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할 수 있는 경지가 아니다. 그래도 신중현 선생이나 비틀스의 노래는 언제 들어도 좋은 걸 보면 대가에게는 아무리 무딘 인간의 마음이라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는 게 분명하다.

어려서 시골에서 해가 떨어지면 식구가 옹기종기 모여 라디오 연속극 듣는 것이 거의 유일한 낙이었다. 그렇더라도 누이들이 열광하던 연애물에는 별로 끌린 적이 없었는데 딱 한 프로그램만은 예외였다. 지금도 성우들의 목소리가 귀에서 쟁쟁한 그 작품의 제목은 ‘저 눈밭에 사슴이’었다.

그 작품에만은 왠지 모르게 정신없이 끌려들었던 기억이 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것은 바로 저 유명한 김수현 선생의 데뷔작이었다. 대가의 솜씨는 ‘똘똘이의 모험’만 최고로 알던 어린 소년의 마음 깊은 곳에서 잠자던 연애 감각도 깨울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영화 중에서는 ‘저 눈밭에 사슴이’ 못지않게 머릿속에 깊이 각인된 작품이 〈결혼 피로연〉(1993)과 〈음식남녀〉(1994)이다. 아직 한국 영화가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기 전이었던 그 시절에 작품성에서나 재미에서나 할리우드 영화를 한없이 초라하게 만들어놓는 그 영화를 보면서 공연히 혼자 통쾌해했던 생각이 난다.
바로 그 두 영화를 만든 타이완 출신 리안 감독의 신작 〈색, 계〉가 최근 개봉했다. 화면에 두세 차례나 ‘헤어누드’가 비칠 정도로 선정성이 격렬한데도 다 보고 나면 찜찜한 구석 없이 마음이 서늘하다고 한다.

리안 감독은 기자들이 왜 영화 제목이 〈색, 계〉냐고 묻자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끓어오르는 마음은 색이고, 영화를 잘 만들려고 애쓰는 것은 계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결국 대선판에 뛰어들 것 같다. 자기가 몸담았던 당에서 대선 후보가 공식 선출되었는데, 그 후보가 아무래도 낙마할 위험이 있어 미리 뛰어든다는 게 고작 찾아낸 명분이다. 가뜩이나 대통령이 되겠다는 욕망만 뒤엉켜 흐르고 나라를 잘 운용하겠다는 마음은 부족해 보이는 선거판의 ‘색’이 한층 풍부해졌다. 화면에는 신음 소리만 질펀해 대가의 작품과는 이미 거리가 멀다.

그리고 쉿, 이건 비밀인데 삼성 구조본(현 전략기획실)에서 벌어졌던 드라마도 대여점 직행감이다.

기자명 문정우 편집국장 다른기사 보기 mjw21@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