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의 전력 보급률은 1995년 15%로 낮았다. 2015년 88%를 달성했다. 라오스 정부가 발표한 ‘비전 2030’에 따르면 라오스는 2030년까지 전체 가구의 98%까지 전력을 보급할 계획이다. 과거보다 전력 보급률이 좋아져 생활은 편리해졌지만 정작 라오스 국민들은 전기요금에 불만이 많다. 라오스 공무원 평균 월급은 약 250달러(약 28만원) 정도이며 일반 국민은 평균 200달러(약 22만원) 수준의 임금을 받는다. 라오스 각 가정의 전기료는 4인 가족 기준 평균 30달러(약 3만5000원)다. 수입의 12~15%가량을 전기료로 내야 하는 셈이다. 수도 비엔티안에서 은행원으로 일하는 쇼이 씨는 한 달 수입이 300달러(약 34만원) 정도다. 방 3개 딸린 일반 주택에 사는 그는 지난달 전기료로 50달러(약 5만6000원)를 냈다. “거실을 제외하고 방의 전구는 다 빼놓았다. 이웃들과 모이면 비싼 전기요금에 대한 불만이 넘친다.” 택시 기사인 퐁 씨는 “밤마다 전등 끄라고 애들에게 잔소리를 한다. 비싼 전기요금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불만에도 주민들은 정부에 항의하지 못한다. 공산당 1당독재 체제로 운영되는 라오스에서는 사회적 불만을 제기하다가 체포되는 일이 흔하기 때문이다. 라오스 정부는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가, 비싼 전기요금 때문에 부정적인 민심을 더 자극할까 우려하고 있다.

ⓒ시사IN 이명익라오스 정부는 수력발전을 성장동력으로 삼았다.
위는 라오스 아타프 주에 있는 발전 시설.

메콩 강 개발에 대한 라오스 국민들의 불편한 속내도 접할 수 있었다. 라오스 국민들에게 메콩 강은 농사지을 물과 물고기를 주어 ‘어머니의 강’이라고 불린다. 댐이 잇달아 건설되면서 수질이 악화되고 물고기 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것이다. 한 어부는 “메콩 강에서 물고기를 잡아 비싸게 팔 수 있었다.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어 양식업을 해야 하나 걱정하고 있다. 사람들은 댐 때문이라고 말한다”라고 전했다. 비엔티안 북쪽의 몽 지역에서 바구니 등 수공예품을 만드는 쓰담 씨는 “바구니 만드는 재료인 갈대가 점점 값이 오른다. 1㎏에 1만 키프(약 1320원) 정도 하는데 가격이 두 배나 올랐다. 댐 공사가 시작되자 물이 점점 마르면서 메콩 강 주변 갈대가 줄어들어 값이 오른다고 들었다”라고 말했다.

기자명 비엔티안·김영미 국제문제 전문 편집위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