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가 논이었어요.” 한 주민이 진흙탕으로 변한 곳을 가리키며 말했다. 논이라고는 전혀 생각할 수 없을 만큼 황폐한 땅에 휩쓸려온 나뭇가지가 가득했다. “여기 계단이 있어요.” 갑자기 그가 울음을 터뜨리며 걸음을 멈췄다. 거대한 진흙 제방이 되어버린 곳에서 자신이 살던 집의 흔적을 발견했다. 진흙더미에서 셔츠 한 벌을 꺼내 들었다. 그가 찾은 유일한 자산이었다.

ⓒ릉릿 꽁무앙

마을의 비극은 7월23일(현지 시각) 발생했다. 이날 저녁 8시, 주민들은 집안의 물건을 높은 곳에 올리고 대비하라는 비상 통지를 받았다. 홍수가 나기 2시간 전이었다. 하지만 물이 불어나는 속도가 빨라 대피는 어림도 없었다. 순식간에 엄청난 흙탕물이 허리께까지 차오르자 아남 씨(가명)는 공포에 휩싸였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그와 가족들은 모두 물탱크 위에 몸을 동여맸다. 여기저기서 울부짖는 소리와 함께 범람한 흙탕물이 마을을 삼키는 굉음이 뒤섞였다. 수위는 점점 높아져 저마다 지붕 위로, 보트로 올라가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어떤 이들은 눈앞에서 가족이 물에 쓸려가는 모습을 지켜보아야 했다. 아남 씨 가족들은 물탱크에 의지해 한참을 떠내려가다 큰 반얀 나무에 매달렸다. 울부짖는 소리는 밤새 이어졌다.

ⓒ릉릿 꽁무앙8월4일 라오스 아타푸 주 사남사이 지역에 마련된 임시 피난처.
수재민들이 구호 물품을 받기 위해 나와 있다.
ⓒ릉릿 꽁무앙댐 사고 이후 매일 주검이 발견된다.
8월5일 화장 순서를 기다리는 희생자들.
ⓒ릉릿 꽁무앙8월5일 주택 지붕까지 차올랐던 물이 빠지자 콕콩 마을이 모습을 드러냈다.
살아남은 가축을 추스르는 주민.

라오스 정부는 7월24일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로 홍수 피해가 난 남부 아타푸 주 사남사이 지역을 국가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후 실종자 수색과 재건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8월6일 흙더미 속에 잠긴 집으로 들어가려고 트랙터를 동원해 필사적으로 흙을 파내던 한 주민은 이렇게 말했다. “누가 이 댐을 만들었는지 아십니까? 도대체 어떻게 지어졌습니까?”

릉릿 꽁무앙(Roengrit Kongmuang)

타이 출신 다큐멘터리 사진가. 다큐멘터리 사진가 그룹 ‘1OFOTOS’를 설립했다.
사회·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다. 그의 사진이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실리기도 했다.

기자명 라오스 아타푸 주 사남사이/ 글·사진 릉릿 꽁무앙(사진가·1OFO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