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키벅 지음
이효석 옮김
현암사 펴냄

샛노란 책 표지를 팔에 가져다 대었다. “내 팔은 이 색이 아닌데.” 되뇌다 의문이 든다. 나는 언제부터 나를 ‘노란 인종’이라고 여겼나. 누가 나를 노랗다고 규정했나. 타이완 국립대학 마이클 키벅 교수는 동아시아인의 인종적 정체성에 대한 ‘부정확하고 왜곡된’ 믿음의 뿌리는 의외로 견고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18세기 중반까지 서구에서 아시아인의 피부색에 대한 표현은 다양했다. 올리브색, 적갈색, 짙은 색 등. 심지어 아시아를 일찌감치 여행한 유럽인 몇몇은 기행문에서 중국인과 일본인을 ‘백인’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노란색은 처음부터 정해져 있던 색 관념이 아니었다.

책의 원제는 〈Becoming Yellow〉. 직역하자면 ‘노란색이 되다’ 정도랄까. 황인종이라는 분류 자체가 상상 속에서 발현되어 점차 고착화했다는 뜻이다. 노란 인종이 ‘당연한’ 개념이 되기까지 근대 유럽인의 노력이 이어졌다. 18세기 생물학자인 린네가 처음 ‘lurĭdus(라틴어로 노란색, 연황색 혹은 창백한, 섬뜩한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됨)’라는 단어로 아시아인을 구분했고, 이를 증명하려 각종 유사 과학이 동원됐다. 골상학과 우생학이 황인종이라는 분류를 거창한 과학적 결과물인 양 포장했다. 서구 의학은 ‘몽고인종’의 특징이라며 몽고반점, 몽고증(다운증후군) 따위의 개념을 만들어 전파했다. 이렇게 짜깁기한 관념을 안타깝게도 20세기 동아시아는 의심 없이 받아들였다. 스스로 우리를 ‘황색’이라 지칭한 것이 우리의 근대였다. 해서 이 정체불명의 노란 관념은 여전히 살아서 증식한다.

황인종 개념의 유래를 쫓아가는 이 책을 쓰기 위해 저자는 700명이 넘는 이들의 여행기, 연구서, 비망록, 저서 등을 참고했다. 나와 우리가 역사 속에서 어떻게 규정되었는지 천천히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기자명 김동인 기자 다른기사 보기 astoria@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