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색다른 여름휴가 여행지를 소개한다. 인도의 라다크, 남태평양의 사모아, 탄자니아의 초원과 잔지바르 섬은 쉽게 갈 수 없는 곳이기는 하다. 시간이 꽤 필요하고 비용이 제법 드는 곳이다. 하지만 이번 여름이 아니라도 언젠가 한 번쯤 가볼 만한 곳이다. 

색다른 여행가들이 이 색다른 여행지를 소개한다. 라다크를 안내하는 여행 작가 환타(〈시사IN〉 ‘소소한 아시아’ 필자)는 여행지를 속속들이 알아야 직성이 풀리는 여행가다. ‘귀로 떠나는 세계여행’을 표방한 팟캐스트 〈탁PD의 여행수다〉의 진행자, 최고의 여행 입담꾼 탁재형 PD가 남태평양 사모아의 수평선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를 전한다. 아프리카 전문 여행사 ‘디스이즈아프리카’를 운영하는 젊은 여행가 박다애씨는 우리를 킬리만자로로 안내한다. 

ⓒ전명윤 제공인도의 최북단 라다크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가 쓴 〈오래된 미래〉의 배경이 된 곳이다.

 

 

 

 

인도가 산악인에게 에베레스트 같은 존재이던 시절이 있었다. 세계 일주를 다 마치고 마지막에 가봐야 할 나라라는 미사여구로 포장된 게 십몇 년 전이다. 이렇다 보니 인도에도 오지인 듯 오지가 아닌 듯한 곳이 몇 군데 있다. 그중에 하나가 인도의 최북단 라다크 지방이다. 아마 〈시사IN〉 독자라면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의 책 〈오래된 미래〉를 읽어봤을지 모르겠는데, 그 책의 무대가 바로 라다크다. 지리적으로 문화적으로 고립된 탓에 보존할 수 있었던 전통, 그 덕에 라다크는 한때 천국처럼 묘사됐다. 

처음 라다크 땅을 디뎠을 때가 20여 년 전이다. 하루 네 시간 정도 전기가 들어오면 참 다행이라 생각했던 시절이었다. 어두워서 별을 간직했던 ‘레(Leh)’의 하늘은 이제 인더스 강가에 놓인 자그마한 수력발전소 하나 덕에 밝아졌다. 요즘은 조금 비싸다 싶은 호텔 외벽에는 LED 램프가 장식되어 있다. 전기를 적게 먹는 LED는 도시인에게야 전기세 절약의 좋은 아이템이지만, 이런 벽지로 가면 경쟁적으로 화려함을 과시하기 위한 소품으로 전락한다.  
 

 

ⓒ전명윤 제공라다크의 도시 ‘레(Leh)’는 3만명이 사는 작은 지역이다. 위는 레 시내를 전망할 수 있는 남걀 체모 곰파.

 

 

 


수십 년 전, 그들의 소박함을 보면서 외지인들은 자신들이 놓쳤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것을 연상해냈다. 막상 그 사람들은 우리네 도시와 같은 모습을 천국이라고 상상했을지도 모른다. 결국 각자의 경험과 환경의 교차점에서 우리는 잠시 만났다 다시 헤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라다크에서는 항상 구시렁거리는 여행자들을 만날 수 있다. 예전에 이곳은 이렇지 않았고, 인심이 살아 숨 쉬고 있었다는 이야기들은 어쩌면 이곳에서 만나는 최악의 공해일지도 모른다. 변했다는 것도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처음 온 이들에게 라다크는 여전히 따듯하다. 무엇보다 일단 천신만고 끝에 여기까지 온 여행자들은 라다크에 발을 디뎠다는 것만으로도 그저 행복하다. 미세먼지에 시달린 도시의 사람들에게, 라다크의 투명한 대기와 그저 새파란 하늘, 하늘 아래 일필휘지처럼 뻗어간 산맥의 곡선이 만들어내는 풍경은 충분히 비현실적이다. 

라다크에서 가장 큰 도시는 ‘레’인데, 3만명 남짓이 사는 작은 지역이다. 길게 뻗은 히말라야의 산길을 따라, 버스에 몸을 싣고 24시간, 가장 빠른 지프를 타고 16시간 정도는 족히 달려야 도착할 수 있다. 산허리를 깎아 만든 1.5차선 차도가 만만할 리 없다. 한국의 대관령, 한계령, 혹은 문경새재의 모든 옛 도로를 다 합쳐놓는다 해도 비교 불가한 바닥으로 내리꽂히는 절벽은 설산의 웅장함과 묘한 대비를 이룬다. 휴대전화 신호는 잡히지 않고, 그 사이를 비집고 겨우 잡아낸 GPS 신호는 현재 달리는 도로 고도가 4000~5000m를 넘나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명윤 제공라다크에는 파란 하늘과 예쁜 웃음을 지닌 사람들이 있다. 아래는 라다크 노인들.

 

 

 

비록 교통편은 연결되어 있지만 도시인의 관점에서는 이 정도만 해도 오지다. 옅은 대기와 빛이 만난 하늘은 시원하다 못해 서늘하다 할 정도의 청색을, 고작 셀카 한 장 집중해서 찍었을 뿐인데 숨이 가빠오고, 어느새 혈색도 새파래진다. 이곳에 있다 보면 여행자들은 세상의 끝에 대해 이야기한다. 농가를 개조한 숙소에서 아침마다 내어주는 인도산 싸구려 비스킷과 함께 홍차 한 주전자를 놓고 여행자들은 각자 이야기를 들려준다. 자신이 가본, 혹은 자신이 앞으로 갈 그곳이 진짜 세상의 끝이라며 침을 튀긴다. 누군가는 해남의 땅끝 마을을 거쳐, 누군가는 포르투갈의 로카 곶을 거쳐, 하나둘 이곳으로 모여든다. 하나쯤 진짜 있을지 모르는 세상의 끝에 대한 묘한 기대와 환상을 품은 사람들이다.   

여기까지 온 여행자들에게 힘 빠지는 소리를 하자면, ‘레’는 라다크에서 가장 큰 도시일 뿐이다. 아직 많이 밟지 않은 대지가 ‘레’를 시작으로 다시 한번 이어진다. 끝이라 믿고 여기까지 왔겠지만, 거기 서서 보면 지평선 너머 끝없이 이어지는 새로운 길이 있음을 알게 된다. 알 수 없는 그 너머에는 더 파란 하늘과 더 예쁜 웃음을 지닌 사람이 있다. 저길 가기 위해 우리는 하루쯤, 1년쯤, 10년쯤 더 살아야 하는 건 아닐까? 

 

 

 

■ ‘고재열 기자와 함께 떠나는 나의 첫 아프리카 여행’ 설명회(7/25)가 열립니다. 신청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goo.gl/M2JZ2t

 

 

 

 

 

 

 

기자명 환타 (여행 작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