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말 서지현 검사가 검찰 내 성폭력을 폭로한 지도 80여 일이 지났다. 석 달도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예술·정치·종교계 인사의 추악한 면면이 드러났다. 이제는 대학과 중·고등학교까지 미투 운동이 퍼지고 있다. 지난 2009년 성상납을 강요한 인사들의 명단을 폭로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배우 고 장자연씨 사건도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피해자만 있고 가해자는 없었던 수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0만명을 넘겼다. 최근 법무부 산하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장자연 리스트 사건에 대해 검찰에 사전조사를 권고했다. 폭로자의 용기와 더불어 사회적 공감이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오는지 우리는 미투 운동을 통해 체감하고 있다.

ⓒ정켈 그림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를 가벼운 유머처럼 소비하는 일도 끊이지 않는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미투 운동을 가열차게 해서 좌파가 더 많이 걸렸으면 한다”라고 말해 미투 운동을 진영논리에 이용한다는 빈축을 샀다. 배스킨라빈스는 공식 인스타그램에 게시된 광고 영상에 “너무 많이 흥분” “몹시 위험”이라는 문구를 넣었다. 배우 고 조민기씨가 피해 여성에게 보낸 성희롱 메시지를 마케팅 수단으로 썼다는 비판이 일자 부랴부랴 영상을 삭제했다.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의 민족이 개최한 ‘배민신춘문예’도 문제가 되었다. 음식을 소재로 한 짧은 글을 올리는 이 이벤트에 일부 누리꾼이 “제 다리를 보더니 침을 삼키면서…” “미트(Meat) 운동” 같은 글귀를 올린 것이다. 배달의 민족 측이 삭제 방침을 밝히면서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최근 비슷한 사건이 또 일어났다. 롯데엔터테인먼트는 공식 인스타그램에 영화 〈레슬러〉 홍보 사진을 올리면서 ‘[단독] 체육관에서_타이트한 의상_입은_A씨_ 유출 사진_모음.zip’이라는 글을 덧붙였다. 미투 운동으로 어느 때보다도 성폭력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때에 디지털 성범죄를 희화화하는 듯한 문구로 항의를 받았다.  

 

이윤택 사건을 필두로 연이어 성폭력 고발이 터져 나온 공연예술계에서조차 미투 운동은 농담거리가 되었다. 뮤지컬 배우 김태훈씨는 팬과 사진을 찍는 행사에서 어깨에 손을 올리며 “미투 하면 안 된다”라고 말한 사실이 알려져 출연 중인 작품에서 하차했다. 그는 사과문에서 “용기를 내 미투를 하신 피해자 분들에게 저의 경솔함이 상처가 됐을 거라 생각하니 죄책감에 마음이 무겁다”라고 밝혔다.

성폭력 피해자들의 폭로 글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이야기가 있다. 피해를 호소해도 무시당했다, 혹은 그것이 당연히 견뎌야 하는 일인 줄로만 알았다는 한탄이다. 이렇게 그동안 고립되고 흩어졌던 개개인의 목소리를 묶어내기 위해 떠오른 단어가 ‘미투’다. 그런 의미에서 미투는 “나도 당했다”보다는 “나도 고발한다” 혹은 “나도 당신의 아픔에 공감한다”라는 주체적인 선언에 더 가깝기도 하다.

미투 희화화는 2차 가해에 공모하는 일일 수도

그러므로 미투를 농담으로 소비하는 행위는 연대의 무게감을 떨어뜨리고 약자의 언어를 빼앗는다는 점에서 2차 가해에 공모하는 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악의 없이” “의도치 않게”라는 말도 면죄부가 되지는 못한다. 피해자의 상처에 공감하는 데는 복잡한 지식이나 사고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더구나 일상에서 “내가 이러면 너도 미투 할 거냐?”라는 식의 미투 희화화는 주로 직장 상사·교수·교사·선배와 같은 상급자에 의해 이뤄지는데, 이는 단순한 무지 탓으로만 보기 어렵다. 자신은 절대 피해자가 될 일이 없다는 것, 그리고 듣는 이들이 그 자리에서 불편함을 대놓고 표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알기에 할 수 있는 발언이다. 약자의 입을 막고 자신의 권력을 재확인하면서 즐거워하는 모습은 그 수단이 농담이냐 성폭력이냐의 차이일 뿐 쌍둥이처럼 닮은 모습이다.

기자명 양정민 (자유기고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