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윤무영이빈파 서울광우병감시단 대표.

이빈파 서울광우병감시단 대표(47)는 학교 급식운동의 ‘대모’ 격인 인물이다. 2002년  급식 두부 맛이 이상하다는 아들의 말을 듣고 혈혈단신 두부의 유통 과정을 추적한 것을 계기로 ‘학교급식네트워크’를 설립하며 급식 운동에 본격 뛰어들었다. 그런 이씨가 광우병 감시 운동에 앞장서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서울광우병감시단은 어떤 활동을 하는가? 
감시단은 강동·관악·구로·용산구 등 서울 각 지역의 학부모와 활동가들이 네트워크로 묶인 곳이다. 지난해 7월 결성된 후 주로 이마트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불매운동을 벌였다. 미국산 쇠고기를 팔지 못하도록 구호를 외치며 캠페인을 벌이다 쫓겨난 일도 많다.

 미국산 쇠고기 문제와 관련한 소비자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보나.
매장 투쟁도 중요하고, 서명운동도 펼쳐야겠지만 가장 중요한 건 원칙을 가지는 일이다. ‘우리 아이에게 제대로 된 먹을거리를 주자’는 철학적 뿌리가 튼튼해야 한다. 원산지 표시, 유통이력제 같은 걸 아무리 하면 뭘 하나. 누군가 중간에서 속이면 아무 소용이 없다. 그래서 쇠고기 불매운동은 단순한 네거티브 운동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신뢰를 심는 운동이다. 유모차를 끌고 나와 촛불을 든 엄마들이 원하는 건 단순한 재협상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좀더 살 만한 사회로 바뀌는 것이다.

경제적 약자는 결국 미국산 쇠고기를 먹을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한우 사용으로 학교 급식비가 오르는 것도 부담이 될 텐데.
현행 학교급식 조례엔 차상위 계층까지 무상 급식이 이뤄지도록 돼 있다. 문제는 호시탐탐 이 원칙을 흔드는 세력이 있다는 점이다.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이 지난해 결식아동 지원 예산 37억원을 삭감해서 크게 문제가 됐다.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도 이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결국 이 운동은 사회 공공성 차원에서 우리 사회를 ‘광우병 안전지대’로 만드는 것이 목표가 돼야 한다.

그런 일이 과연 소비자 운동으로 가능할까.
중요한 건 식품안전 체계를 바로잡는 것이다.  첨가물이나 조미료 형태로 들어오는 광우병 위험 식품은 사실 우리가 어쩔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국가와 기업이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예컨대 지금 생협이 한우와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동시 전수 검사를 요구하는데, 이런 일은 정부가 먼저 나서야 할 일이다. 우리가 할 일은 끊임없이 정부와 기업을 압박하는 것이다.

기자명 이오성 기자 다른기사 보기 dodash@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