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한국은 전 세계 어느 곳보다도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가 빠르게 보급된 나라가 됐다. 하지만 전자책 보급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나는 이 점을 개인적으로 상당히 안타깝게 생각한다. 종이책보다 전자책이 더 우월해서가 아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스마트폰에 중독된 요즘 세태에 미국처럼 전자책 플랫폼이 일찍 자리를 잡았다면 한국인들이 책을 접할 기회가 더 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전자책이 자리 잡기 전에 스마트폰이 확산되어서인지, 한국인들은 스마트폰을 채팅, 게임, 동영상 감상에만 쓰는 듯싶다. 얼마 전 만난 한 출판사 대표가 “지하철에서 종이책이나 신문, 잡지를 읽는 사람들이 완전히 씨가 말랐다. 이제 한국에는 텍스트의 종말이 왔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반면 미국에서는 전자책이 확실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16세 이상 미국인 가운데 전자책을 읽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1년 만에 16%에서 23%로 늘어났다.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전자책 전용 리더나 태블릿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고 답한 경우도 조사 대상자의 33%나 됐다.

나는 4년쯤 전부터 미국에서 전자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다. 가끔 트위터를 통해 ‘전자책으로 읽는 것이 종이책보다 나으냐’는 질문을 받는다. 그래서 이번에는 전자책의 장단점에 대해서 소개해보려 한다.

2007년 킨들이 탄생하며 열린 시장

일단 전자책의 장점은 가볍고 휴대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종이책은 일단 무겁고 부피가 크다. 두꺼운 책을 몇 권만 가방에 넣어도 어깨가 뻐근하다. 하지만 전자책은 한 권을 가지고 다니나 수백, 수천 권을 가지고 다니나 무게가 똑같다.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기기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전자책 전용 리더는 웬만한 책보다 가볍다.

책을 읽다가 사전이나 추가 정보를 찾아보기도 편하다. 모르는 단어에 손가락을 갖다 대면 바로 뜻이 나온다. 그 단어에 대해서 바로 그 자리에서 인터넷으로 검색해보거나 위키피디아를 열어볼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책은 구매가 간편하다. 사고 싶은 책이 있을 때 일부러 서점에 가거나 인터넷 서점에서 주문해놓고 기다릴 필요가 없다. 그 자리에서 바로 전자책 서점에서 살 수 있다. 책의 앞부분 샘플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 전에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장점 중 대부분은 미국에서 전자책을 사용할 경우에만 누릴 수 있다. 2007년 아마존이 킨들을 소개하면서 열린 미국의 전자책 시장이 이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이후 미국에서는 거의 모든 책이 종이책 출간과 동시에 전자책으로도 나온다.

아쉬운 점도 물론 있다. 무엇보다 종이책의 질감, 존재감을 전자책에서는 느끼기 어렵다. 종이를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책을 읽어나가는 ‘성취감’이 아무래도 떨어진다. 내가 읽고 있는 페이지가 전체 분량에서 어디쯤인지, 다 읽으려면 얼마나 남았는지를 감각적으로 느끼기 어렵다.

다 읽은 책을 남에게 빌려줄 수가 없다는 것도 큰 아쉬움이다. 전자책 계정 하나로 가족끼리 공유하는 정도만 가능하다. 사실 책은 나눠 읽는 기쁨이 큰 법인데 좋은 책을 다 읽고 나눌 수 없어 아쉬울 때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책은 책을 사랑하는 독자에게 편리한 매체다. 책의 진화다. 종이책, 오디오북 외에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책의 포맷이 하나 더 생긴 것으로 생각하면 좋겠다. 상황에 따라 편리한 책의 포맷을 골라서 사면 되는 것이다. 한국에도 빨리 전자책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기를 기대한다.

기자명 임정욱 (다음커뮤니케이션 글로벌부문장)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