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한향란소설가 김애란씨(위)는 같은 세대에 관한 질문이 왜 자신을 당혹스럽게 만드는지 궁금해한다.
세대에 관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20대 작가로서 같은세대를 어떻게 이해하느냐는 거였다. 상투적인 질문이었다. 하지만 중요한 질문이기도 했다. 나는 늘 얼버무리거나 그렇고 그런 재미없는 대답을 했다. ‘몇 년대생 작가라는 말보다 그냥 작가라는 말에 더 방점을 두고 싶다’, ‘세대보다 계급적인 공감이 더 컸다’는 식으로. 그리고 그 말은 어느 정도 진심이었다.

나는 하나의 질문이 지나간 것에 안도하며 다음 답변을 준비했다. 몇 번만 더 얼버무리면 곧 서른이 될 테니까. 나에겐 ‘소설은 왜 쓰는가?’‘근대문학의 종언은 어떻게 생각하나?’와 같은 숙제도 잔뜩 남겨져 있으니까.

20대의 공통점은 자책과 무력감

며칠 전, 다시 세대 의식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처음 든 생각은 ‘이 원고, 쓰지 말자’였다. 식상하기도 했고, 뭔가 발언하는 일이 익숙지 않아서였다. 그것이 내 개인적인 성향인지 세대적인 특징인지 잘 모르겠다. 문득 한국에서 20대의 의견은 언론의 옵션, 언론의 특집, 언론의 끼워주기 안에서만 서식하는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기성세대가 20대에게 의견을 물을 때, 대답이 발랄하고 건방지기를 바란다는 인상을 받은 적이 있다. 그들은 20대의 생각이 궁금하기보단, 20대를 귀여워해주고 싶어하는 것 같았다.

나 역시 성인식이 유예되는 게 싫지만은 않았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내가 그것을 충분히 대답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한 어떤 시기’ 뒤로 미루고 싶었다. 그리고 얼마 후, 지금 고민하지 않는 문제는 나중에도 고민하지 않게 된다는 걸 깨달았다. 상투적인 질문에 상투적으로 대답하고 난 뒤 석연찮은 마음이 드는 것도 싫었지만, 같은세대에 관한 질문이 나를 왜 당혹스럽게 만드는지 궁금했다.

 우리 세대, 즉 ‘88만원 세대’라 호명되기 이전의 20대에 대한 나의 태도는 보통 사람들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다. ‘잘 모르겠지만’으로 시작되는 불길하고 모호한 시선(취업난에 시달린다, 그런데 노는 것 먹는 것 입는 것은 고급이다, 외국어를 잘한다, 정치 사회 문제에 무관심하다 등등)은 이미 익숙했지만. 그런 진단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진실인지 알 수 없었다. 같은 세대라 해서 그 특징이 더 잘 보이는 건 아니었다.

다만 확신할 수 있는 건, 20대에게는 ‘어른’이 되지 않아도 될 때 주어지는 안락함보다, 어른이 될 수 없을 때 그 구조 안에서 느끼는 고통이 더 컸다는 것이다. 내가 또래 친구들에게 발견하는 공통점은 자책과 무력감이었다. 이만큼 교육받고도 뭔가를 성취하지 못했다는 것. 이만큼 노력했는데도 안되는 것은 결국 자신이 더 노력하지 않았거나 조건에 미달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것. 사회적으로는 효율성이라는 시스템 앞에 무력하고, 개인적으로는 자본주의가 끊임없이 부추기는 욕망 앞에서 무력하다고 느끼는 이들이 비단 ‘88만원 세대’만은 아니겠지만, 사회에 진출하기도 전에 그것을 절실히 느끼고, 경제적 독립의 기회를 박탈당하기 시작한 세대는 지금의 20대가 아닌가 싶다. 그리고 지금 이 사회가 바라듯, 내 주위 친구들은 모든 걸 자기 탓으로 돌리고 있다. 나는 이 무력감이 패배감과는 다른 것이라 생각한다.

 ‘88만원 세대’라는 명칭은, 그간 소비자이거나 유권자이기만 했던 우리 세대에게 적어도 의미 있는 첫 번째 이름이 되었다. 우리 세대를 무조건 옹호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우리에게 전혀 책임이 없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다만 이 세대에 대한 막연한 편견이나 소문이 아닌, 성실한 논리를 가져보고 싶다는 마음이 든다.
몇 번 더 얼버무리면 서른이 될 테지만. 내가 40대에 갖게 될 세대 의식이나 50대에 질문할 것들 역시 이미 20대 안에 속해 있고, 그때 작품 안으로 걸어 들어오는 인물들 역시 바로 이곳에서 출발하게 될 이들이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