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출신의 그린피스 핵 전문가 해리 라미 씨(40·사진)는 핀란드 핵 정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2000년부터 그린피스에서 활동 중이다. 그린피스 북유럽 지부 핵 캠페인을 총괄했고 현재는 동아시아 지부에서 일한다. 핵과 관련한 책도 다섯 권 출간했다. 워리어호에서 그를 만났다. 한국 방문은 처음이다. 원전을 둘러본 소감은? 한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도 원전 증가에 박차를 가하는 유일무이한 나라다. 한국을 실제로 보니 더 충격이었다. 정부의 소통 방식이 폐쇄적이다. 원전을 가장 빨리 짓고 수출까지 하지만 안전 문제는 뒷전이다.

ⓒ시사IN 조남진
다른 나라와 비교한다면? 한 군데에 너무 많은 원자로가 몰려 있고, 바로 인근에 주민이 산다. 원자로 타입이 모두 한 가지 디자인인 것도 문제다. 핀란드는 원자로 타입이 다양하다. 설계 오류가 내재되어 있을 때 모두 같은 디자인이면 모든 원전을 다 멈춰야 한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는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가동을 중단한다. 한국은 원전을 멈출 수 있나. 지금껏 그런 적이 없다고 들었다.

핀란드의 원전 상황은 어떤가?

핀란드도 원전을 짓고 있다. 2005년 허가를 받은 올킬루오토(olkiluoto) 3호기의 경우 상당히 속도를 내서 짓다보니, 안전상 문제가 발견됐다. 2006년 그린피스는 원전 쿨링파이프의 치명적인 설계상 결함을 발견했다. 더 들어가보니 2500가지 사소한 결함도 드러났다. 건설이 지연됐고 원전은 아직 상업적으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여전히 논쟁이 계속된다. 후쿠시마 이후 북유럽 분위기는? 답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원전은 정치의 문제이기도 하다. 핀란드 전 정부는 원전을 지지했지만, 지금 정부는 반대한다. 스웨덴은 보수 정권 당시 철폐하기로 했다가 은근슬쩍 다시 늘리는 분위기였는데 후쿠시마 이후 역시 제자리걸음이다. 한국에 제안하고 싶은 대안이 있다면? 리서치를 좀 더 강화해야 한다. 지역적 특수성에 따라 집중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태양이나 파도 등을 활용한 에너지를 무난히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 주민들을 직접 만나보니 관련 지식이 상당히 많다. 정부는 직접 관련이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시민은 가동 중인 원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기자명 임지영 기자 다른기사 보기 tot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