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70년엔 ‘65세 이상(고령자)’이 한국 인구의 절반에 가깝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6월16일 지난 10년 동안 고령화 추이를 살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서 통계청은 고령자를 ‘65~74세’와 ‘75세 이상’ 등 두 집단으로 분류해서 그들의 인구 비중, 빈곤율, 노후 준비, 취업 의사 등을 조사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체인구 가운데 고령자 비중은 2023년 현재 18.4%에서 2037년엔 31.9%, 2070년엔 46.4%로 늘어날 전망이다. 고령자 집단 가운데서도 ‘75세 이상’이 ‘65~74세’보다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 ‘75세 이상’의 수는 2037년부터 전체 고령자 수의 절반을 웃돌다가 2070년엔 인구의 30.7%를 점유하게 된다.

고령자 비중이 인구의 14%에서 20%로 늘어나는 기간이 프랑스는 39년(1979년→2018년), 미국은 15년(2014년→2029년 예상), 일본은 10년(1994년→2004년) 걸렸다. 한국은 7년(2018년→2025년 예상)에 불과할 정도로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통계청이 조사한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전체인구 중 빈곤 위험에 처한 사람의 비율)을 보면, 66~75세는 30.5%, 76세 이상은 51.4%다(2021년 기준). 10년 전인 2011년에 비해 각각 13.0%포인트, 3.9%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자신의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두 집단 모두 다소 늘어났다.

'공적연금의 중요성' 갈수록 강화

65~74세의 78.7%, 75세 이상의 46%는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었다(2021년 기준). 생활비를 조달하는 방안으로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가 가장 많았다.

고령자들의 취업 의사는 상당히 강한 편으로 나타났다. 2022년 현재, 65~74세 고령자 가운데서는 59.6%, 75~79세 고령자는 39.4%가 근로를 희망하고 있다. 이 비중은 두 집단 모두에서 10년 전보다 11%포인트 정도 늘어났다. 그들이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각각 53.9%와 5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노후 준비에서 공적연금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65~74세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2013년의 52.5%에서 2021년엔 62.3%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동안 75세 이상은 18.1%에서 45.1%로 치솟았다. 당사자인 고령자들도 이를 의식하고 있다. 노후 준비 방법으로 65~74세는 62.6%, 75세 이상은 52.9%가 공적연금을 꼽았다(2021년 기준). 이 비중 역시 2011년보다 각각 19.1%포인트, 11.3% 포인트 높아졌다.

 

기자명 이종태 기자 다른기사 보기 peeke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