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한국 사회에 논란거리가 될 때는 언제나 세 가지 키워드가 등장했다. ‘승계’ ‘노조’ ‘산재’. 이건희 회장에게서 이재용 부회장으로 가는 경영권 승계는 불법과 탈법과 편법을 넘나드는 곡예를 요구했고, 국가는 이를 사실상 견제하지 않았다. 무노조 경영 원칙 덕에 삼성은 작은 노조만 떠도 불법적 수단을 만지작거리는 취약한 그룹이 되었다. 삼성그룹이 노조라는 견제자를 허용했다면 반도체 공장 백혈병으로 대표되는 산업재해 문제를 더 유능하게 다뤘을지 모른다.

ⓒ사진공동취재단2017년 2월13일 뇌물공여 등 혐의를 받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대치동 특별검사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4월에는 3대 악재가 동시에 분출했다. ‘산재’ 리스크는 이제 삼성 반도체 공장의 영업비밀 공개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삼성의 주장과 정반대 결론을 내린 전문가 그룹 자문 결과를 천관율 기자가 공개한다. ‘승계’ 리스크 관리에 실패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본인의 재판, 최순실·박근혜 재판을 넘나들며 교도소 담장 위를 걷고 있다. 이를 김은지 기자가 짚어준다. ‘노조’에 대한 신경증은 노조 파괴 기획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검찰에 포착되면서 기업 전체가 위기로 몰리고 있다. 이 지경이 되어서 돌아보면 작은 노조 하나 허용하는 게 훨씬 싸게 먹힐 일이었지만 삼성은 그럴 수 없는 회사였다. 이와 관련해 김연희 기자가 정리했다.


견제와 균형을 비켜가는 삼성의 유능함 덕분에, 지난 10년 동안 삼성은 3대 악재 중 무엇에도 치명상을 입지 않았다. 하지만 바로 그 유능함 덕분에 좋은 견제자를 갖지 못한 삼성은 3대 악재 중 어느 하나 해결하지 못하고 리스크가 쌓인 채 10년 세월을 보냈다. 3대 악재의 동시 분출이 우연만은 아닐지 모른다.

기자명 천관율·김은지·김연희 기자 다른기사 보기 yul@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